한국의 전통무용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오를 것이 확실시된다.
1일 유네스코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한국의 탈춤`(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을 심사해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평가기구는 등재 신청서가 제출된 유산을 심사한 뒤 그 결과를 `등재`(inscribe), `정보보완(등재 보류)`(refer), `등재 불가`(not to inscribe) 등으로 구분한다. `한국의 탈춤`은 `등재` 판단을 받았다.
평가기구는 심사 결과를 발표한 뒤 이를 무형유산위원회에 권고하는데, 등재 권고 판정이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최종 등재 여부는 이달 28일(현지시간)∼12월 3일 모로코에서 열리는 `제17차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이번 결과에 따라 `한국의 탈춤`은 우리나라의 22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될 것이 확실해 보인다.
한국은 현재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비롯해 판소리, 강릉 단오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 가곡, 대목장, 매사냥 등 총 21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의 탈춤은 무용, 음악, 연극의 요소가 모두 들어있는 종합 예술로 평가받는다. 부조리한 사회 문제나 도덕적 모순 등 어려운 주제를 해학과 풍자로 공론화하면서도 재치 있게 풀어낸 점이 특징이며, 등장인물의 성격을 과장해 재미를 자아내면서도 화해의 춤으로 마무리한다.
`한국의 탈춤`은 국가무형문화재 13개와 시도무형문화재 5개로 구성돼 있다.
국가무형문화재로는 양주별산대놀이,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강릉단오제 중 관노가면극, 북청사자놀음, 봉산탈춤, 동래야류, 강령탈춤, 수영야류, 송파산대놀이, 은율탈춤, 하회별신굿탈놀이, 가산오광대 등이 있다.
시도무형문화재는 강원무형문화재 속초사자놀이, 경기무형문화재 퇴계원산대놀이, 경북무형문화재 예천청단놀음, 경남무형문화재인 진주오광대와 김해오광대 등이다.
(사진=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