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0.10

  • 45.62
  • 1.86%
코스닥

690.80

  • 14.96
  • 2.21%
1/3

"코로나 벼락부자, 빨리 뜨고 빨리 졌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코로나19 대확산의 수혜를 본 기업들에서 세계적 갑부들이 줄줄이 배출됐지만, 재산이 줄어든 속도도 빨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18일 전 세계 최대 갑부 500명을 선정하는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가운데 코로나19 시기 재산이 2배 이상으로 늘어난 189명을 추린 뒤, 이 가운데 직접적으로 코로나19 확산 여파의 수혜를 본 갑부 58명을 다른 갑부들과 비교했다.

코로나19 수혜 업종은 자가격리, 원격근무, 온라인쇼핑, 백신, 의료기기, 페이(결제) 서비스, 반도체 등 7개 분야로 생활양식 변화와 유동성 공급 확대 흐름을 타고 시가총액이 급증한 기업들이 속출했다.

이들 기업의 `코로나 벼락부자`들은 코로나19 확산 초반 2년간 폭발적으로 재산을 늘렸지만, 이후 시장 상황 악화 속에 재산이 고점 대비 평균 5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아마존`으로 불리며 미 증시에 상장한 온라인쇼핑 업체 쿠팡의 김범석 창업자의 경우 상장 후 최고 89억달러(약 12조7천억원)에 이르렀던 순자산이 9월 말 기준 30억달러(약 4조3천억원)로 약 67% 줄었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150억달러(약 21조4천억원)에서 40억달러(약 5조7천억원)로,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160억달러(약 22조9천억원)에서 50억달러(약 7조1천억원)로 재산이 약 60∼70%씩 쪼그라들었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제약업체 모더나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의 재산은 75%, 화상회의 서비스 업체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의 에릭 위안 CEO의 부는 84% 각각 고점 대비 급감했다.

블룸버그가 분류한 `코로나 갑부` 가운데 아시아인은 26명, 미국·캐나다인은 18명, 유럽인은 10명 순이었다. 한국인은 김범수 의장과 서정진 명예회장이 명단에 들었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