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9월 물가 5.6%↑, 두달 연속 상승세 둔화…외식물가 30년만에 최고

배추 95%↑·무 91%↑...공공요금 인상·환율은 변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제유가 하락 영향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중반을 기록하며 두달 연속 오름세가 주춤했다.

하지만 여전히 5%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다,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 가격은 9% 가까이 급등했고 외식 물가는 30년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93(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3.7%에서 올해 1월 3.6%로 소폭 둔화한 뒤 2월에 3.7%, 3월에 4.1%, 4월에 4.8%, 5월에 5.4% 등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6월과 7월엔 각각 6.0%, 6.3%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후 8월 상승률은 5.7%로 지난 1월 이후 7개월 만에 전월 대비 상승 폭이 둔화했으며, 9월에도 오름폭이 축소되면서 상승률이 두 달째 꺾였다.

이는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이 컸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가 16.6%, 가공식품은 8.7% 각각 오르면서 공업제품이 6.7%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로 정점을 찍은 뒤 유가 하락에 7월 35.1%, 8월 19.7%로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

9월에도 경유(28.4%)는 여전히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지만, 휘발유(5.2%) 상승률은 상당 폭 둔화했다.

공업제품의 전체 물가에 대한 기여도 역시 전월 2.44%포인트에서 2.32%포인트로 하락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감산 결정이 석유류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석유류 가격 둔화 흐름이 지속된다면 물가 상승세는 7월 이후 정점을 지났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9월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은 8.7% 올라 전월(8.4%)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농산물도역시 채소류(22.1%)를 중심으로 8.7%나 올랐다. 특히 작황이 좋지 않았던 배추(95.0%)와 무(91.0%)가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고, 파(34.6%)와 풋고추(47.3%) 등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축산물은 3.2%, 수산물은 4.5% 각각 올랐다.

개인서비스는 6.4% 올라 전월(6.1%)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으며 상승률로도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큰 오름세를 보였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9.0%로 1992년 7월(9.0%) 이후 3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치킨(10.7%), 생선회(9.6%) 등의 가격이 크게 오른 영향이다.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 관리비(5.4%) 등 외식 외 서비스도 4.5%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14.6% 상승했다. 다만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전월(15.7%)보다 오름 폭이 둔화했다.

그러나 10월에는 전기와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분이 반영되면서 재차 오름세를 키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환율 역시 추가적인 물가상승을 이끌 수 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달 보다는 0.3% 올랐다.

이에 따라 9월까지 누계 비 물가 상승률은 5.0%를 기록해 이대로라면 연간 기준으로도 5%를 넘어설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어운선 심의관은 "석유류와 채소·과실 등 농산물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 폭이 축소됐지만, 환율 상승이 만만치 않으니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분명 있을 것"이라며 "연간 물가 상승률은 5% 초반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5% 오르며 전월(6.8%)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5%로 전월(4.4%)보다 상승세를 키웠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4.1% 올라 전월(4.0%)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이는 2008년 12월(4.5%)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