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강력한 긴축 신호에 국내 금융시장은 크게 휘청였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하고 주식·채권이 동반 하락하는 `긴축발작`이 재현된 건데요.
연준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에 한미간 금리가 재역전되면서 한국은행의 추가 `빅스텝` 가능성도 더 커지게 됐습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발 금리폭탄이 주는 충격은 컸습니다.
미 연준이 세차례 자이언트 스텝에 나서자 한국의 주식과 원화, 채권 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트리플 약세`가 나타났습니다.
코스피는 전날보다 14.90포인트 하락한 2,332에 거래를 마쳤고, 원·달러 환율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6개월만에 1,400원선이 뚫렸습니다.
채권시장도 크게 출렁였습니다. 3년만기 국고채 금리는 11년 7개월만에 처음으로 4%대를 넘어 10년물 금리와 역전되는 모습을 보이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2013년에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처음으로 양적 완화 축소, 테이퍼링를 시사한 뒤 신흥국의 통화가치와 주가, 채권값이 대폭락하는 `긴축 발작`의 악몽이 재현된 겁니다.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정부도 분주하게 대응했습니다.
더 이상 구두개입만이 아닌, 국민연금과 한국은행간 통화스와프 재개, 세계국채지수 관찰대상국 편입, 개인 투자용 국채 도입과 같은 전방위적인 시장안정조치까지 예고했습니다.
[추경호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재부와 한은, 금융위, 금감원 등 경제팀은 긴밀한 공조 하에 넓고 긴 시계를 견지하며 현 상황에 대응해가겠습니다. 단기간 내 변동성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관리해나가는 한편 내년 이후의 흐름까지도 염두에 두고 최적의 정책 조합을 모색하겠습니다.]
한국은행도 다음달 기준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이미 0.75%포인트까지 벌어진 한미간 금리차가 좁혀지지 않고 금리역전 현상이 이어질 경우 고공행진 중인 환율을 더 끌어올리고 자본유출 위험도 커질 수 있다는 부담감 때문입니다.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0.25%p씩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결국 입장을 바꿨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 당초 미국의 기준금리가 4%대에서 안정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는데, 전날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많이 바뀌었습니다. 다음 금융통화위원회까지 2~3주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제조건의 변화가 국내물가와 성장흐름, 외환시장에 주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한 뒤 기준금리 인상 폭, 시기 등을 결정해 나갈 것입니다.]
한은은 환율상승에 금리까지 다시 가파르게 오르면 한계기업 비중은 20%까지 늘어날 것이라며 기업여신 심사와 비은행금융기관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