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SNS로만 예약 받아요"…어르신들은 '퇴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최근 서울 성수동, 청담동, 한남동 등 젊은 층에 인기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앱이나 SNS로만 예약받는 가게가 늘면서 소외감을 호소하는 중장년층이 늘고 있다.

서울 도봉구에 사는 송란숙(52) 씨는 얼마 전 코로나19 완치 기념으로 지인들과 오마카세(`셰프 특선요리`를 뜻하는 일본어) 집에 가려다 난감한 상황을 맞닥뜨렸다. 앱으로만 예약이 가능했던 것이다. 송씨는 "결국 대학생 딸이 예약해줘 어렵게 갔는데, 셰프가 어떻게 예약했냐고 물어보더라"며 "나이 든 사람들에겐 앱이 마치 접근하지 못하는 장벽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백모(54) 씨도 최근 유명 마카롱을 사려고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가게에 들렀다가 그냥 발길을 돌려야 했다. 인스타그램으로 사전 예약을 해야만 구매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백씨는 "젊은 사람 중에도 SNS를 안 쓰는 사람이 있는데 너무 배타적"이라며 "일종의 특권 의식까지 함께 팔겠다는 건지,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유모(54) 씨는 "요즘 전화로는 간단한 설명도 안 해주는 식당들이 있다"며 "우리 세대도 소위 말하는 `힙한` 곳에 가보고 싶은데 그게 부담스러워져 서럽다"고 털어놨다.

식당들은 `노쇼(NO SHOW·갑작스러운 불참)`를 방지하기 위해 예약 앱을 이용할 뿐, 특정 세대를 배제하려는 의도는 없다는 반응이다.

경기 남양주시의 한 마카롱 가게 주인은 "예약 앱은 손님이 예약금을 미리 지불하게 해 `노쇼`를 막는 데 도움이 되고, 손으로 정리하지 않아도 예약 현황을 한눈에 보여줘 편리하다"고 설명했다.

물론 일부 식당은 특정 세대를 겨냥해 그에 맞춘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서울 한남동의 한 레스토랑은 "나이가 많은 손님을 배제하려는 게 아니라 주 타깃층이 20대∼40대까지여서 세대에 맞는 예약제를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식당들의 이런 기류는 경쟁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나름의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대학 교수는 "요즘 젊은 층은 비대면·플랫폼 거래에 익숙해 이들을 고객으로 삼으려는 식당을 중심으로 전화 예약을 없애는 경우가 늘었다"며 "이런 전략에는 예약을 힘들게 해 희소성을 높이고, 소비로 자신을 표현하는 `가치소비`를 즐기는 MZ세대에 소구하려는 의도도 깔려있다"고 분석했다.

신 교수는 그러면서도 "좁은 계층에만 소구하고 나머지는 배제하는 모델은 오래 유지될 수 없다는 게 경영학적으로 밝혀져 있다"며 "우리나라와 같은 고령화 사회에서 중장년층 고객을 충분히 배려하지 않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장진아  기자
 janga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