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최신 스마트폰인 아이폰14 일부를 중국 밖에서 생산하기로 했지만, 실질적인 `탈(脫)중국`까지는 갈 길이 멀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정보통신(IT) 분야 리서치업체인 루프 벤처스의 진 먼스터는 "애플은 (생산지를) 다변화하고 싶지만 이는 힘든 길"이라면서 "중국에 너무 많이 의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애플은 전량 중국에서 생산해왔던 아이폰을 미중간 긴장 고조와 공급망 재편 움직임 속에 처음으로 인도에서 아이폰14 제품 일부를 만들기로 했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 내 아이폰 생산은 중국에서 아이폰을 조립하는 대만기업 폭스콘이 주도할 예정이며, 폭스콘은 인도에서도 비야디(BYD) 등 중국 업체들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소식통들은 애플이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한 지 15년째가 되면서 중국의 기여분이 점점 커졌고, 과거에는 미국에서 설계해 중국에서 만들어지는 식이었다면 현재는 양국 모두에서 개발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중국이 처음에는 값싼 노동력과 대규모 생산능력을 앞세워 애플을 끌어들였지만, 이후 중국의 기술발전 속에 현지 기술자와 부품업체들의 참여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이 2020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강력한 국경 봉쇄에 나서자 다수의 미국 기술자들을 중국에 보내 아이폰 조립 공정을 설계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애플은 선전과 상하이에서 핵심 설계를 담당하는 중국인 기술자 고용을 늘리는 식으로 대응했다는 게 소식통들의 설명이다.
봉쇄가 풀린 뒤에도 중국이 입국자 격리정책을 고수하는 가운데 중국 출장 시 2주 격리와 4주 근무 기간 하루 1천달러(약 138만원)의 높은 수당을 내걸었음에도 미국 직원들이 중국행을 꺼렸고, 이 때문에 현지 기술자로 대체하는 부분을 늘렸다는 것이다.
IT분야 고용동향을 조사하는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애플의 중국 내 구인 건수는 2020년 한 해 전체보다 약 50% 늘었으며, 서구에서 교육받은 중국인들이 이 자리를 채우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애플을 포함해 폭스콘, BYD 등은 NYT의 논평 요청에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