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대중(對中)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는 지난 20여 년간 대중 수출의존도가 가장 많이 높아졌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이런 내용이 담긴 `산업별 대중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별로 해당 산업의 전 세계 수출량에서 대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기준 대중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등의 순이었다.
목재(42.3%), 가죽·신발(38.8%)의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높았던 2000년과는 양상이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특히 2000년 이후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지난해 반도체 산업의 대중 수출 비중은 39.7%로 2000년(3.2%)과 비교하면 36.5%p(포인트) 상승했다. 20여년 새 비중이 12.4배 늘어난 셈이다.
정밀기기`(7.5→42.5%·35%p↑), 디스플레이(2→35.2%·33.2%p↑), 세라믹(5.6→32.3%·26.7%p↑), 통신기기(1.5%→27.9%·26.4%p↑) 등도 대중 수출 비중이 큰 폭으로 올랐다.
대한상의는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대중 의존도 증가는 역으로 말하면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라며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대중 교역은 빠르게 급증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수교 후 8년 뒤인 2000년 한국의 대중 수출 규모는 185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중 수출 규모는 1천629억달러로 2000년과 비교하면 9배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대중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로 늘었다.
중국은 2003년부터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수출국 1위를 지키고 있다.
한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규모는 2000년 128억달러에서 지난해 1천386억달러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에서 22.5%로 상승했다.
다만 최근 추이를 살펴보면 대중 교역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교역수지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중간재 등 분야에서 대중 수입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가 현지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대중 수출은 상대적으로 위축됐기 때문이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경제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코로나19 팬데믹 등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상호 호혜적인 관계 속에서 비약적 발전을 이뤄 왔다"며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중국의 기술추격, 미중 패권 경쟁 심화 등 삼중고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