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복권되면서 `뉴삼성` 구축에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도 속도가 날지 주목된다.
15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법위)는 16일 정기회의를 연다. 이 부회장 복권 이후 처음 열리는 만큼 지배구조 개편 논의가 언급될지 관심이 쏠린다.
올해 2월 출범한 2기 준법위는 3대 중심 추진 과제 중 하나로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ESG 경영 실현`을 꼽은 상태다.
앞서 2년 전 삼성물산·삼성전자·삼성생명 3개사가 보스턴컨설팅그룹에 지배구조에 대한 용역을 줬으며, 최종 보고서는 아직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한 논의는 소유구조 개편, 승계방식 등 여러 갈래로 진행된다.
현재 삼성의 지배구조는 이 부회장 등 오너일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진다.
삼성물산의 최대 주주인 이 부회장(17.97%)을 비롯한 오너 일가가 삼성물산 지분 31.31%를 보유 중이며 이 지분을 통해 삼성생명, 삼성전자를 간접 지배하는 형태다. 이 부회장은 고(故) 이건희 회장 사후 지분 상속을 받아 삼성생명의 2대 주주(지분율 10.44%)로 올라서면서 그룹 지배력을 강화한 상태다.
다만 현재 야당이 추진 중인 보험업법 개정안이 삼성 소유구조의 변수로 꼽힌다. 보험사의 계열사 지분 평가방식을 `시가`로 명시해 총자산의 3% 이내로 보유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현재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8.51%)의 대부분을 매각해야 하므로 이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은 약화되게 된다.
향후 승계 방식을 어떻게 할 것인가도 주요 논의 대상이다.
앞서 이 부회장은 2020년 5월 경영권 승계 등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4세 경영 포기`를 선언했다.
이는 오너 체제에서 장기적으로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됐다. 이를 위해 이사회 중심의 경영 구조를 확립해 이사회에 의한 최고 경영자 선임 방식이 최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