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3

'리틀 버핏' 애크먼 "美 기준금리, 최소 4% 이상 유지 필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리틀 버핏` 애크먼 "美 기준금리, 최소 4% 이상 유지 필요"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진: 빌 애크먼(Bill Ackman) 퍼싱스퀘어 캐피털 CEO
`리틀 버핏`으로 불리는 월가의 헤지펀드 거물 빌 애크먼(Bill Ackman) 퍼싱스퀘어 캐피털 최고경영자(CEO)가 고강도 긴축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2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애크먼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나서야 한다"면서 "연준이 미국의 기준금리를 최소 4% 이상 유지해야 한다"고 전했다.
빌 애크먼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이 인플레이션이라고 진단했다.
애크먼은 "재작년 코로나 사태 이후 인플레이션이 고공 행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준의 조치들이 제대로 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면서 "물가와 임금이 동반 상승하는 악순환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 장기화 방지를 위해 연준이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애크먼의 발언은 연준이 고강도 긴축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나왔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7일(현지시간) 기자회견 당시 미국의 경제 상황을 고려해 향후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애크먼은 "시장을 둘러싼 가장 큰 위험요소는 인플레이션 장기화 리스크가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시장 관계자들이 인플레이션이 불러일으킬 후폭풍을 여전히 간과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서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향후 12개월에서 18개월 동안 최소 4%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면서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정책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애크먼은 미국 경제가 아직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애크먼은 "미국 경제가 아직까진 `매우 강한(Very Strong)` 상태라고 생각한다"면서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서 "최근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JP 모간 CEO와의 대화를 통해 미국 경제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면서 "미국 주요 은행의 디폴트 비율도 역사적으로 낮고, 고객들의 경제 여건도 상당히 좋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사진=CNBC)
한국경제TV  글로벌콘텐츠부  홍성진  외신캐스터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