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07.18

  • 16.13
  • 0.62%
코스닥

767.27

  • 10.95
  • 1.45%
1/4

1유로=1달러, 20년 만에 첫 패러티, 1300원 넘은 원·달러 환율, 어디까지 오르나?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오늘, 관심이 되고 있는 금통위가 잠시 후에 열릴 예정입니다만 그보다 급한 사항이 유로화 가치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등가 수준이 흔들리면서 일부에서는 유럽통합까지도 깨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긴급으로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어제 이 시간이었죠. 미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가 나올 수 있다는 방송 이후, 미국 백악관에서도 비슷한 견해를 발표했거든요?
- 美 6월 CPI 예상치 8.8% 불구 9%에 도달?
- 7월 FOMC, 최악의 경우 1%p 인상 급부상
- 美 3대 지수, 빅테크 종목 중심으로 다시 하락
- 오늘 금통위, 한은 역사상 0.5%p 빅테크 인상?
- 국내 증시, 美 증시 하락과 함께 ‘큰 충격’ 가능성
- 한은, 국민의 체감경기와 시장까지 ‘모두 감안해야’
- 유로화, 2002년 이후 20년 만에 등가수준 붕괴

Q. 말씀하신 것처럼 유로화의 등가수준이 깨짐에 따라 파장이 크지 않습니까? 유로 출범 이후, 유로화는 어떻게 움직였는지… 그 흐름부터 먼저 정리해주신다면?
- 유로화 출범 99년, 실제 생활 사용 2001년부터
- 유로화, ‘1달러=1유로’ 등가수준으로 출발
- 실제 생활, 유통 직후 2002년 등가수준 붕괴
- 그 후 브렉시트 전까지 평균 1.20달러, 성공?
- 2016년 브렉시트 직후, 등가수준 재붕괴 우려
- 2017년 5월 마크롱 당선, 1.20달러 이상 회복
- 유로화 출범 99년, 실제 생활 사용 2001년부터
- 유로화, 오늘 ‘1달러=1유로’ 장중 붕괴 파장
- 균열된 유럽통합, 더 이상 추진 어렵지 않겠느냐?

Q. 이 시간을 통해 여러 차례 언급해 주셨습니다만 유로화 가치가 하락하는 원인을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시지요.
- 메르켈 총리 퇴임 이후, EU와 유로화 시련
- 포스트 메르켈, 유럽 맹주역할 급격히 약화
- 유로화 등가수준 붕괴 후 “메르켈 돌아오라”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유럽 경제 타격
- 올해 2분기 유로 성장률, 마이너스로 추락?
-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8.1%, 스태그플레이션?
- ECB의 금리인상 지연, 美와의 금리차 확대

Q. 유로화가 등가 수준이 붕괴되는 것을 놓고 일각에서는 미국이 역환율전쟁의 승리라고 보기도 하는데 이러한 시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작년 11월 중순 방송, 새로운 환율전쟁 진단
- 종전 환율전쟁, 자국통화 절하 통한 수출증대
- 새로운 환율전쟁, 인플레 방지 위한 평가절상
- 유로화 등가수준 붕괴, 美 신환율전쟁 승리?
- 유럽 통합 분열 등 유럽 자체적 요인 영향 많아
- 올해 들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 강달러, 美 경기와 기업실적에 부담되는 상황

Q. 최근 들어 유로화 가치가 폭락함에 따라 헤지펀드의 대부인 조지 소로스가 브렉시트 이후 유럽 위기 재현 가능성을 계속해서 언급해오고 있지 않습니까?
- 조지 소로스, 90년대 초 유럽통화투기 주범
- 소로스, 2011년 재정위기와 달리 통화위기
- 유럽통합 분열, 유로화 약세 겨냥 환투기
- 브렉시트 이후 유로화 투기 가능성 경고
- 2011년 유럽재정위기, 유로화 약세 베팅 실패
- 2016년 브렉시트 직후, 패러티 붕괴 베팅 실패
- 2022년 패러티 재붕괴에 베팅, 과연 성공할까?
- 소로스, 멀티 스피드 유럽→ 멀티 트랙 유럽

Q. 방금 유럽통합이 분열될지 모른다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실제로 유럽통합은 현재 어떤 상황입니까?
- 유럽 통합, 상당한 수준의 퇴보 ‘불가피’
- ‘심화’는 정지, ‘확대’는 회원국 유지 과제
- 2016년 브렉시트, 유럽통합에 결정적 시련
- ‘제3의 방안’에 대한 논의 진전될 가능성
- 회원국 내 분리 독립 운동도 거세지는 추세
- 스코틀랜드·카탈루냐·북부 이태리 등 선두
- 바스크와 네덜란드 플랑드르도 분리독립 가세
- 소로스의 멀티 트랙, 유럽통합의 분열상 표현

Q. 또 하나의 중심통화인 유로화 가치가 폭락함에 따라 달러 중심의 브레튼우즈 체제가 다시 올 것이라는 시각이 고개를 들고 있지 않습니까?
- 금융위기 이후 non system, 달러 체제 약화
- 각국, 자국의 독립성 확보 위해 脫달러화 노력
- 자국통화 결제망, SWIFT→ ‘CIPS’와 ‘SPFS’으로
- 바이든, SWIFT에서 배제…러시아 고립화 추진
- 푸틴, 결제망 ‘SPFS’ 통해 루블화 가치 방어
- 루블화 가치, 140루블까지 폭락했던 것 만회
- 위안화 부상, 달러 중심 체제 또 한차례 위기?

Q. 유로화 가치가 폭락함에 따라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점인데요. 가장 관심이 되는 것이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아니겠습니까?
- 1단계, 코로나 이후~블루 웨이브 확정 이전
- 구분 2020년 3월 2021년 초
- 달러인덱스 103.0 89.5
- 원·달러 환율, 같은 기간 달러당 200원 급락
- 2단계, 블루 웨이브 확정 이후 ‘달러 가치 회복’
- 구분 2021년 초 2022년 7월 12일
- 달러인덱스 89.5 108대
- 원·달러 환율 1,082원 1,312원
- 달러인덱스, 58%인 유로 약세의 반사적 성격
- 작년 초라면 몰라도, 현재 기준 달러투자 수익 낮아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제작1부  정연국  PD
 ykjeong@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