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94.46

  • 12.34
  • 0.50%
코스닥

693.73

  • 10.38
  • 1.52%
1/4

'이자장사' 경고에 놀란 은행…예금금리↑·대출금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주요 시중은행들이 최근 연 3∼5%대 금리의 정기 예·적금 상품을 잇달아 출시하고 대출 금리는 낮추고 있다.
금융당국과 정치권에서 `이자 장사` 경고가 쏟아지고, 예대금리차(예금·대출금리 격차)가 7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져 비판여론이 나오자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1일 `창업 40주년`을 맞아 특판 상품인 `신한 40주년 페스타 적금`과 `신한 S드림 정기예금`을 내놨다.
10만 계좌 한도로 출시된 페스타 적금은 주(週) 단위로 납입하는 만기 10개월 자유 적금으로, 월 최대 3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최고 금리가 연 4.0%에 이른다.
1년제 정기 예금인 S드림 정기예금의 최고 금리(연 3.2%)도 3%를 넘고, 최대 가입 가능액은 1억원이다. 역시 1조원 한도가 정해진 특판 상품이다.
NH농협도 오는 11일께 우대금리 0.4%포인트(p)를 포함해 금리가 연 3%대인 정기예금 신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지난달 22일 우리은행은 최고 금리가 연 3.20%인 `2022 우리 특판 정기예금`을 2조원 한도로 내놨는데, 불과 6일 만에 소진돼 같은 달 28일 한도를 두 배인 1조2천억원으로 늘렸다. 하지만 1일 현재 한도까지 1천437억원만 남아 두 번째 소진이 임박했다.
같은 달 17일 케이뱅크가 출시한 연 5.0% 금리의 `코드K 자유적금` 10만 계좌도 10일 만에 모두 팔렸다.
이처럼 6월 두 차례 선보인 5%대 금리 적금 특판에 힘입어 수신(예금)이 한 달 사이 8천500억원이나 늘자 케이뱅크는 이달에도 특판 상품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반면 예·적금 금리 인상과는 달리 대출금리는 금리 상승기에도 불구, 은행 스스로 계속 낮추는 분위기다.
신한은행은 이르면 이번 주(4∼8일) 대출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예정이다.
지난 4월 신한은행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10∼0.25%포인트 한 차례 내린 바 있다.
NH농협은행은 이미 이달 1일부터 우대금리 확대 등을 통해 담보, 전세자금 등 주택관련대출 금리를 0.1∼0.2%포인트 낮췄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24일부터 은행채 5년물 기준 고정금리 대출에 적용하던 1.3%포인트의 우대금리(은행 자체 신용등급 7등급 이내)를 모든 등급(8∼10등급 추가)에 일괄적으로 주기로 했다. 결국 우리은행 전체 등급의 가산금리가 1.5%포인트씩 낮아진 것과 마찬가지다.
케이뱅크도 같은 달 22일 대출금리를 최대 연 0.41%포인트 인하했다.

이처럼 은행이 앞다퉈 예·적금 금리를 높이지만 대출금리를 낮추는 배경으로는 무엇보다 지나친 예대금리차(마진)에 대한 금융당국, 정치권, 여론의 부정적 기류가 거론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20일 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금리 운영의 합리성과 투명성을 지속해서 높여 나가야 한다"며 "금리는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고 있지만, 금리 상승기에는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은행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달 28일 국민의힘 성일종 정책위의장도 민생물가안정특위 회의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만 올려도 대출이자 부담이 6조7천억원 이상 늘어난다고 한다"며 "금융기관들이 예대마진에 대한 쏠림 현상이 없도록 자율적으로 참여해줄 것을 간곡하게 부탁한다"고 했다.
한은에 따르면 5월 기준 예금은행의 대출 잔액 기준 총수신(예금) 금리는 1.08%, 총대출 금리는 3.45%로 예대마진은 2.37%포인트 수준이다.
은행의 예·적금 금리 인상에는 다른 이유도 있다.
올해 들어 가계대출은 줄었다지만, 기업대출이 계속 늘고 있어 예·적금 유치를 통해 하반기 대출 자금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6월 말 현재 기업대출 잔액은 673조7천551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37조8천672억원이나 불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709조529억원→699조6천521억원)이 9조4천8억원 오히려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금융지원 조치 때문에 완화된 건전성 기준이 다시 원래 수준으로 강화되는 점도 변수다.
금융지원을 전제로 금융당국이 예대율(은행 예금잔액 대비 대출잔액 비율),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등의 기준을 낮춰줬는데, 이제 금융지원 종료를 앞두고 다시 기준이 정상 수준으로 복원되면서 수신(예금)을 늘릴 필요가 커졌다는 얘기다.
이런 요인들로 은행들이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수신금리 인상 등을 통해 예·적금 유치에 나설 가능성이 크고, 부동산·주식·가상화폐 등 자산시장도 계속 부진할 것으로 예상돼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흘러드는 현상은 갈수록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5대 은행의 정기 예·적금 잔액은 지난해 말 690조366억원에서 올해 6월 말 722조5천602억원으로 6개월 사이 32조5천236억원이나 늘었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