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발로 10초 동안 거는 것이 어려운 중장년층은 수년 내 사망할 위험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영국스포츠의학저널(BMJ of Sports Medicine)에 게재된 브라질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10초간 한 발로 서기를 제대로 할 수 없으면 잘하는 사람보다 7년 내 어떤 이유로든 사망할 위험도가 8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08∼2020년에 51∼75세 남녀 1천702명을 대상으로 `한 발 서기`를 측정한 뒤 약 7년(중간값) 후 참가자의 사망률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양팔을 허리춤에 붙이고 정면을 응시한 채 어느 쪽 발이든 상관없이 총 3차례 중 한 번이라도 한 발로 10초 이상 균형을 유지하면 `성공`, 그렇지 못하면 `실패`로 기록됐다. 그 결과 전체의 20.4%가 균형잡기에 실패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팀이 약 7년 후 이들의 사망률을 파악한 결과 전체 사망자 수는 123명(7.2%)이었다. 특히 한 발 서기에 성공한 참가자의 사망률은 4.6%에 그쳤고, 한 발 서기에 실패한 참가자들은 사망자 비율이 17.5%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특히 참가자들의 연령·성별·비만도·기저질환 등의 변수를 고려해도 한 발 서기 `실패` 참가자의 사망률이 크게 높은 경향은 그대로 유지됐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브라질 운동의학클리닉의 클라우디오 길아라우호 박사는 "차에서 내릴 때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등 일상생활에서 한 발로 서야 할 때가 있는데, 이럴 때 한 발로 서지 못하거나, 하기가 두렵다면 신체 건강이 훼손됐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장년층의 신체검사에 `한 발 서기`를 추가하면 사망률 예측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뇌 인지 기능, 근육 협응력, 원활한 혈액순환 등을 `균형잡기 능력`으로 간단히 한 번에 테스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글래스고대학 심혈관과학연구소의 나비이드 사타 신진대사의학 교수는 CNN에 "한 발 서기에는 근육·혈관·두뇌가 모두 작용해 가까운 미래에 사망할 위험을 확인하는 검사로 활용될 수는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CNN은 이 연구 내용을 소개하면서 `균형잡기 능력`과 `사망률` 사이의 인과 관계를 분석한 것은 아니라며 한계점이 분명하다는 점도 함께 소개했다. 또 참가자의 낙상 경험이나 평소 운동·식습관, 흡연 여부, 의약품 복용 여부 등 중요한 외부 요인도 분석에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도 단점으로 짚었다. 사망자들의 사망 원인도 분석되지 않았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