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 각국 국민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국제 원유시장에서는..러시아산 원유가 최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원유 판매대금이 크게 증가한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즐기고 있다는 시각까지 등장하면서 전쟁의 양면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지 않을까 싶은데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노예해방일 휴장을 끝내고 개장된 미 증시가 모처럼 반등에 성공하지 않았습니까?
- 美 3대 지수, 기술적 요인으로 반등에 성공
- 오늘 반등, 월가에서 특별한 의미 두지 않아
- 2분기 성장률 발표되는 7월 말까지 ‘wobbling market’
- 경기 침체, ‘연준의 금리인상 정점론’ 고개
- 코로나發 인플레, 기대심리와 공급 측 채찍효과
- 두 요인 차단 위해 0.5%p 이상의 금리인상 필요
- 옐런이 주장한 경기침체 피해갈 수 있는 길은?
- 월가, 최상의 부양책 “러시아-우크라 전쟁 종료”
Q. 문제는, 전쟁이 끝날 가능성이 있느냐인데 최근 들어 국제 원유시장에서는 러시아산 원유가 최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 내용도 말씀해주시죠~
- 美와 EU, 경제제재로 러시아 원유 금수조치
- 러시아 경제 초토화시켜 전쟁을 끝내려는 의도
- 하지만 의도와 달리, 러시아산 원유 ‘최대 인기’
- 美와 EU 의도와 달리, 러시아산 원유 ‘최대 인기’
- 中, 지난달 러시아산 원유 무려 842만 배럴 도입
- 전년동기비 55% 급증, 전월비로는 25% 증가
- 中, 또 다른 금수국인 이란으로부터도 원유 도입
- 美와 경제패권 다툼 일환, 대중 관세인하 쉽지 않아
Q.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러시아산 원유를 도입하려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는 거죠?
- 모디 총리, 美와 러시아 간 경제실리외교 추진
- 美와는 인도 태평양 경제프레임(IPEF) 적극 참여
- 러시아산 원유 적극 도입, 지난달 2배 이상 증가
- 향후 러시아산 원유 도입 확대 계획
- 남아공, 러시아산 원유 도입 ‘적극 고려’
- 브릭스 중 대선 앞둔 브라질만 도입하지 않아
- 美의 EU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조치 효과 ‘반감’
Q. 결과적으로 보면 러시아 입장에서는 자국의 원유 수출이 늘어날 경우 원유 판매수입이 늘어나게 되는 거죠?
- 전쟁이 장기화될수록 러시아, 원유판매대금 급증
- IEA, 연초대비 25%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
- 러시아 금융시장, ‘대혼란’에서 유일하게 벗어나
- 러시아 금융시장, ‘대혼란’에서 유일하게 벗어나
- RTS 주가지수, 2월 24일 ‘610’→ 6월 21일 ‘1397’
- 루블화, 전쟁 직후 120루블→ 현재 23루블
- 원유판매대금으로 달러결제망(SWIFT) 제재 피해
- 우려했던 러시아 국채 디폴트, 아직까지는 미발생
Q. 미국과 EU의 강력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러시아산 원유 도입에 적극 나서는 이유가 있지 않습니까?
-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국제유가 ‘슈퍼 스파이크’
- WTI, 작년 초 57달러→ 110달러까지 급등
- 푸틴, 러시아산 원유 전략적으로 저유가 정책
- 국제유가가 올라갈수록 러시아산 원유 더욱 인기
- 인플레이션, 각국 통수권자 운명 좌우할 수준
- 경제고통지수, 실업률보다 인플레이션율이 좌우
- 시진핑 등 브릭스 최고통수권자, 장기집권 야망
Q. 이렇게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금수조치가 효과를 거두지 못함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는 크게 당황할 수밖에 없는데, 그래서겠죠. 바이든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조치는 모두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바이든, 대아프가니스탄과 러시아 정책 실패
- 내부적으로 인플레 잡기에 실패, 경제고통 급증
- 국민 지지도 30% 붕괴, 중간선거 패배 가능성
- 인플레 파이터로 나서는 바이든, 효과는 불투명
- 사우디 방문, 대트럼프 반감으로 환영받지 못해
- 중국에 대한 관세인하, 일관성 없다는 비판 급증
- 바이든 대통령, 러시아산 원유 도입해야 할까?
Q. 바이든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인플레를 잡지 못해 곤혹을 치르는 최고통수권자들이 의외로 많지 않습니까?
- 유럽 국민, 그 누구보다 인플레에 대해 민감
- 1차 세계대전 후유증, 이탈리아 ‘리어카 파동’
- 유럽중앙은행(ECB), 연준과 달리 물가안정 고수
- 마크롱 대통령, 인플레 잡지 못해 절름발이 정부
- 기시다 총리, 인플레 문제로 지지도 하락 ‘반전’
- 기시다 총리 지지율, 5월 말 최고 찍고 하락세
- 엔저 고집하는 구로다 일본은행(BOJ) 총재와 갈등
- 콜롬비아도 좌파 정부, 중남미 핑크 타이드 물결
Q. 인플레 문제는 우리도 마찬가진데 그래서 새 정부도 심각성을 인식하고 인플레 해결을 최우선순위를 두고 있지 않습니까?
- 5월 CPI 상승률 5.4%, 하이퍼+갤로핑 성격
- 이창용 한은 총재, 인플레 잡기에 최우선순위
- 하반기 들어서도 ‘금리 지속 인상’ 의사 표명
- 다중 공선형 인플레, 금리 인상만으로는 한계
- 오히려 취약계층 피해 집중…경기침체 우려↑
- 감세·규제 완화 등 공급 측 수단 모두 동원해야
- 모두가 나서는 ‘프로 보노 피블리코’ 정신 필요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