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3

'돈나무 언니' 펀드 수익률 상승…"바닥 VS 더 떨어진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돈나무 언니` 펀드 수익률 상승…"바닥 VS 더 떨어진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돈나무 언니`라 불리는 미국의 유명 투자자 캐시 우드가 이끄는 투자회사 아크인베스트의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최근 반등해 침체된 증시에서 한 줄기 낙관론을 보여준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회사의 대표 상품인 아크이노베이션 ETF(ARKK)는 지난달 11일 이후 17% 상승해 같은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의 상승률 4.4%를 크게 앞질렀다.


지난 한 달간의 급반등에도 불구하고 ARKK의 연초 대비 수익률은 여전히 -54%에 불과하다고 WSJ은 지적했다.

상반기 급락으로 ARKK가 투자한 혁신 기술주들의 `거품`이 상당 부분 빠졌다고 판단한 일부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에 나선 것이 최근 반등의 배경으로 풀이된다.

ARKK가 보유한 테슬라의 경우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작년 말 120배에서 지난주 56.2배로 크게 내려갔다.

반등이 시작된 지난달 11일 이후 ARKK 보유 종목 가운데 줌 비디오가 29%, 로쿠가 11%, 블록이 17%, 코인베이스가 24% 각각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5월6일 3.124%에서 최근 2.955%까지 떨어지고, 줌 비디오 등의 종목에서 쇼트커버링(공매도 투자자가 반등이 예상될 때 빌린 주식을 갚으면서 주가가 오르는 현상)이 나타난 것도 ARKK의 반등 이유로 꼽힌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올해 들어 ARKK에 13억달러(약 1조6천276억원) 이상이 유입됐으며, 이 중 5억달러(약 6천260억원)가 지난 한 달간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루존 웰스어드바이저의 주디스 루 최고경영자(CEO)는 WSJ에 "ARKK는 미래를 상징하는 파괴적 혁신"이라며 고객들의 포트폴리오에 ARKK를 추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ARKK에 대한 투자가 시기상조라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다수의 보유 종목은 여전히 아예 이익을 못 내는 상황이어서 최소 7월까지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천명한 연준의 향후 행보를 고려할 때 추가 하락의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댄 어빈 3서밋투자운용 사장은 WSJ에 "고객들이 `얼마나 더 내려가겠어요? 이제 ARKK에 투자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라고 물어보면 내 대답은 `여러분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