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404/B20220404112453843.jpg)
"자금 유실을 막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으며 투자자들에 피해를 주고 있다."
투자 분석 플랫폼 모닝스타가 최근 캐시우드의 아크 이노베이션에 내린 평가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404/B20220404112929640.jpg)
31일(현지시간) 모닝스타의 CFA 로비 그린골드는 공식 홈페이지 입장문을 통해 아크이노베이션에 대한 평가 등급을 중립(neutral)에서 부정적(negative)으로 하향 조정하며 이같이 밝혔다.
아크 인베스트먼트를 이끄는 캐시우드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DNA 시퀀스 처리, 에너지 스토리지, 로봇 등 5가지 영역에 투자하는 이른바 혁신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2020년에는 이러한 투자가 수익을 가져다줬지만 2021년 24%의 손실을 봤고, 올해 들어서 지금까지만 30%의 손실을 보았다.
그린골드는 아크이노베이션을 "2020년 전성기를 경험한 이후 뉴욕증시에서 가장 큰 폭으로 추락하고 있는 펀드 중 하나다. 그럼에도 위험한 투자방식을 오히려 강화시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팩트셋에 따르면 아크이노베이션은 지난 12개월 동안 수익률은 마이너스 45%에 달하며, 해당 기간 손실액은 10억 달러가량이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우드는 혁신 기업에 투자한다는 기존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CNBC와의 인터뷰에서 "새로운 기술들의 성장성을 볼 때 5년 내 극적인 반등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유아이패스의 주가가 25% 하락한 시점에 350만 주를 추가로 매수했다. 이에 그린골드는 "유동성은 떨어뜨리고, 심각한 손실에 대한 취약성은 더 크게 만드는 전략"이라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20404/B20220404112654867.jpg)
한편 이 같은 캐시우드의 투자전략에 대한 월가의 평가는 엇갈린다. 모닝스타처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일각에선 조만간 성장주가 다시 반등할 수 있을 거란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달 3월 JP모간의 전략가인 마르코 콜라노빅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버블이 있었던 섹터, 특히 올해 강하게 조정받았던 성장주의 조정이 끝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지정학적 리스크도 몇 주 안에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사진=로이터 통신, AP통신, 마켓 인사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