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직후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두산그룹이 약 2년 만에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났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28일부로 채권단과 두산그룹 간 체결한 재무구조개선 약정(MOU)에 의한 채권단 관리체제를 종결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두산중공업이 2020년 3월 산은에 긴급 자금지원 요청을 한 지 23개월 만이다.
산은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재무구조개선과 향후 사업전망에 대한 외부전문기관의 재무진단 결과,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가 다시 독립경영이 가능한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약정 종결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MOU 조기 종결 결정에는 재무지표 개선 등 전통적인 기준뿐만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인 `에너지 분야의 대표기업`으로서의 중요성도 감안됐다"고 말했다.
산은은 "이번 성공적인 재무구조 약정 종결을 통해 에너지 분야의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은 유동성 위기 극복뿐 아니라 `미래형 사업구조로 새 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평가했다.
재무구조개선 과정에서 두산중공업이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미래형 사업구조로 사업구조 개편 계획을 수립했고, 이를 충실히 수행했다는 것이다.
앞서 산은과 수출입은행은 코로나19 위기 직후인 2020년 6월 두산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했다.
그에 앞서 두산은 채권단 요구에 따라 계열사 보유 자산 매각 및 두산중공업 자본을 확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자구계획을 수립했다.
두산그룹 구조조정은 2020년 초 두산중공업의 자금난으로 촉발됐다.
두산중공업은 석탄화력 등 전통 발전 분야의 실적 둔화와 자회사인 두산건설에 대한 자금지원 부담으로 재무구조가 악화한 상황에서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금융시장 경색으로 유동성 부족에 직면했었다.
산은과 수은은 두산중공업 부실 시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고려해 총 3조원의 긴급 자금을 지원했다. 대신 대주주와 계열주의 책임 있는 역할과 직원의 고통분담, 지속가능한 정상화 방안 수립 등 구조조정 3대 원칙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약정 기간 두산그룹이 자구계획의 일환으로 매각한 계열사 자산은 총 3조1천억원에 이른다.
매각 대상에는 클럽모우CC(1천850억원), 네오플럭스(711억원), 두산타워(8천억원), 두산솔루스(6천986억원), 모트롤BG(4천530억원), 두산인프라코어(8천500억원), 두산건설 등 두산그룹 핵심 계열사 자산이 포함됐다.
두산그룹은 이어 지난 18일 마무리한 1조1천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포함, 두산중공업에 총 3조4천억원의 자본을 확충해 재무 악화를 해소했다.
두산그룹이 2년이 채 안 된 기간에 채권단 관리체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대기업 구조조정 전례에 비춰 드문 일이라고 금융권은 보고 있다.
최근 10년 새 가장 빨리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난 대기업계열은 동국제강으로 2년이 소요됐다.
산은은 두산그룹의 약정 조기 종료에 대해 "짧은 기간 계열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