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에게 빌려준 대출금의 만기를 연장해 주거나 이자상환을 유예해 준 돈이 무려 140조원에 이릅니다.
이 유예조치는 다음달 말 종료될 예정인데요.
정부가 또다시 연장을 검토하면서, 은행권에서는 리스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보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고정이하여신은 금융권이 보유하고 있는 대출 가운데 차주가 3개월 이상 연체하고 있는 부실채권을 말합니다.
지난해 기준 5대 시중은행의 평균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9,14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2% 넘게 줄었습니다.
코로나19 금융지원조치 연장에 따른 착시효과입니다.
대출만기를 연장해주고, 원리금 상환을 한시적으로 미뤄주면서 차주들의 연체여부가 구체적으로 파악되고 있지 않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다음달 말로 끝나는 금융지원 조치를 추가로 연장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재 은행권은 충당금을 적극적으로 쌓고 있는 만큼 대응 여력은 충분하다는 입장.
실제 5대 시중은행들의 지난해 고정이하여신(NPL) 커버리지 비율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90.4%를 기록했습니다.
100억원의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할 때를 대비해서 190억원이 넘는 예비자금을 쌓아뒀다는 의미입니다.
개별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이 225%대로 가장 많았고, NH농협, 우리, 하나, 신한은행 순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 수준으로는 리스크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고 우려합니다.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코로나금융지원 조치로) 연체율이 많이 내려가서 부실채권이 줄고 대손충당금도 많이 쌓고 이러니까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상당히 많이 올라갔는데 지금 신규대출 나간 것들이 많고 경기가 낙관적이지 않으니까 그 비율만 가지고는 판단하면 잘못될 수도 있다]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라는 지표가 ‘현재’ 부실화된 대출채권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만큼,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온전히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올해 1월 말 기준 은행권의 코로나금융지원 규모는 약 140조원.
부실화 우려가 큰 대출 규모를 미리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무조건적인 연장안은 선택지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