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44.10

  • 14.32
  • 0.52%
코스닥

858.96

  • 3.23
  • 0.37%
1/1

이유있는 취업난…"기업 매출 늘어도 고용 안늘려"

한국은행 보고서 "고용 확대 보다 기계장치 투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유있는 취업난…"기업 매출 늘어도 고용 안늘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 매출이 늘어도 고용을 쉽게 늘리지 않으려는 경향이 갈수록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성장과 고용간 관계:기업자료 이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4∼2019년 기업활동조사 자료(50인미만 업체 제외)를 바탕으로 고용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2017∼2019년 0.27%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는 2014∼2016년(0.31포인트)보다 0.04%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고용민감도는 매출 증가율 1포인트 변화에 대한 고용 증가율 변동 폭으로, 앞선 3년 사이에는 매출 증가율이 1포인트 오르면 고용 증가율이 0.31%포인트 높아졌지만 이후 3년은 같은 조건에서 고용 증가율이 0.26%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걸 의미한다.

고용민감도 둔화 현상은 300인이상 제조업, 300인미만 서비스업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매출이 증가한 300인미만 서비스업체만 살펴보면 고용민감도가 2014∼2016년 0.28포인트에서 2017∼2019년 절반 이하인 0.13%포인트로 떨어졌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이런 현상에 대해 "경쟁 심화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약해지면 비용이 가격으로 전가되기 어려워 매출원가율(매출원가/매출액)이 상승한다"며 "서비스업 가운데 숙박음식, 정보통신, 사업시설, 부동산업 등의 매출원가율이 높아져 매출이 늘어도 쉽게 고용을 창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매출이 늘어난 300인이상 제조업체의 고용민감도 역시 0.37%포인트에서 0.28%포인트로 낮아졌다.

기계장치에 대한 설비투자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노동생산성 수준에 따라 살펴보면 생산성이 높은 기업의 고용민감도가 더 낮았다.

한국은행은 "노동생산성이 높을수록 고용 창출보다 구조조정을 통한 경영 효율화에 더 적극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서비스업에 속한 300인미만 고생산성 기업의 고용민감도가 크게 떨어졌다.

송상윤 과장은 "고용민감도 둔화는 소규모 서비스업(50인이상 300인미만)의 고용창출력 약화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며 "서비스업 고용 증가는 신생 기업이 주도하는만큼, 신생 서비스업체에 대한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창업에 우호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