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은하계' 언급한 정태영 부회장…금융사 규제완화 '과제'

금융사, 플랫폼화 위한 '편의성' 과제
빅테크와 '동일업종 동일규제'도 숙원과제
정태영 부회장 "BNPL 수수료, 카드사로선 은하계의 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자세한 이야기 취재기자와 직접 나눠보겠습니다. 정치경제부 장슬기 기자 나와있습니다.

장 기자, 금융사들이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 금융업뿐만 아니라 생활서비스까지 확대하면서, 말 그대로 영역이 파괴되고 있다는 표현이 맞는 것 같습니다. 금융사들이 이렇게 급속도로 영역을 확장하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바로 `생존`하기 위해섭니다. 이전에는 금융사들간의 경쟁이었다면, 최근에는 다양한 핀테크업체, 나아가 거대 공룡으로 불리는 빅테크들까지 금융업에 뛰어들면서 경쟁의 장이 굉장히 커졌습니다. 단지 금융업 하나만으로 소비자들을 사로잡기엔 한계가 있는 상황인 겁니다.

때문에 앞서 보신 리포트처럼 금융앱에서 배달이나 커피 주문을 한다거나, NFT 등록 서비스 같은 금융이 아닌 다른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특히 최근에는 여러 정보를 한 곳에 불러모을 수 있는 마이데이터 서비스까지 시행되면서, 금융사들은 일반 금융서비스가 아니라 생활금융서비스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런 다양한 서비스들이 탑재되면서 금융사들의 경쟁력은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기자>
대답을 드리기 전에, 저도 앵커에게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앵커는 뱅킹앱을 주로 언제 사용합니까? 그렇다면 커피 주문을 하기 위해 금융앱을 켠 적 있습니까?

저도 잔액 조회나 이체를 할 때 빼고는 금융앱을 구동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마찬가지일 것 같은데요. 플랫폼화를 추진하고 있는 금융사들의 한계점입니다.

먼저, 금융사들이 최근 생활금융서비스 확대를 위해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마이데이터는 소비자가 원할 경우 여러 회사에 흩어진 신용정보나 금융정보를 한 곳에 모아서 관리할 수 있고, 금융사는 이를 활용해서 다양한 맞춤서비스나 상품 추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 4명 중 1명은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전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잘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3.7%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금융사들이 많은 서비스들을 플랫폼처럼 앱에 탑재한다고 해도, 인지도 자체가 낮다는 것이 약점으로 꼽힙니다. 소비자들이 기존 전통 금융업무에서 벗어나 생활금융 서비스까지 금융플랫폼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관건으로 분석됩니다.

<앵커>
소비자들을 이끌 수 있는 핵심적인 무언가가 추가로 필요해보이네요. 그렇다면 편의성도 굉장히 중요할 것 같은데, 여전히 금융앱은 카카오같은 빅테크 앱보다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도 있지 않습니까?

<기자>
네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뱅킹앱이나 카드앱을 구동하면 V3라는 보안앱이 함께 실행되기 때문에 다른 앱보다 금융앱은 속도가 굉장히 느리죠. 지금은 본인 인증방법이 다양해지긴 했지만 금융앱에서 이체하는 경우 계좌번호도 찍어야 하고 인증서 절차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간편한 핀테크앱을 활용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 부분은 보안과 연계된 문제라 어느 것이 더 낫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확실히 기존 금융앱들이 비교적 편의성면에서는 뒤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기술적인 보완이 좀 더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요. 최근 금융사들이 IT 전문가들 모시기에 나섰다는 보도가 이어지기도 했는데, 이런 움직임도 기술적인 면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습니다.

<앵커>
금융사들이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넘어야 할 산이 상당해보입니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게 규제 아닙니까?

<기자>
네, 지난해 빅테크가 금융업에 진출하면서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표현이 굉장히 많이 거론됐습니다. 여전히 금융권에서는 `동일업종, 동일규제`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먼저, 화면을 보겠습니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최근 SNS에 올린 글입니다. 빅테크들이 BNPL, 후불결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것을 언급한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외상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요, 당장 돈이 없어도 신용을 담보로 물건을 결제하는 형태가 신용카드업과 유사합니다. 맨 마지막 줄을 보면 `BNPL이 가맹점에 물리는 수수료는 무려 5~6%, 1%도 못 받는 카드사로서는 은하계의 일`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앵커>
현금 없이 결제를 하는 기능은 동일한데, 수수료 차이가 상당한데요?

<기자>
네, 후불결제서비스 외에도 실제로 네이버나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는데 카드수수료보다 3~4배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해서 `규제차별`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카드수수료는 올해 추가로 더 인하됐죠. 여전히 금융사들이 핀테크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도 적용되는 규제 자체가 다른 만큼, 금융당국은 물론이고 업계의 해결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전문가들도 오늘 저희가 언급한 편의성 부분과 규제 해소를 금융사들의 중점과제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보시겠습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 (2:29) 금융사들은 앱이나 웹 자체가 굉장히 무거워요. 설치해야 할 것도 많고…돈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면, 네이버나 카카오는 기업이라는 특수성에서 시작했거든요. 금융이 아닌 비금융사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36) 사실 (존재하는) 데이터도 많은 부분이 금융이고, 금융회사가 할 수 있는게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기술이 전혀 안 갖춰져져 있거든요. 기술 확보나 M&A 등 다른 방식들을 찾아줘야 합니다. 그 중에 규제도 있죠. 금융회사는 금산분리나 은산분리에 의해 다른 기업들을 사지 못 하는 부분, 이런 부분들까지도 전체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 같아요.]

<앵커>
장 기자, 잘 들었습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