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실손보험료가 평균 14%가량 오른 가운데 이번엔 자동차보험료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자동차보험은 실손보험과 달리 흑자가 예상되는 만큼 내려야 한다는 소비자들의 주장과 누적된 적자로 인하가 어렵다는 보험사들의 입장이 팽팽합니다.
보도에 정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자동차보험료 산정을 앞두고 팽팽한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주요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안정 구간에 접어들었습니다.
업계에서 자동차보험의 적정 손해율을 80~82%로 보는 만큼, 4년 만에 자동차보험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실손보험료가 인상된 만큼 흑자 전환이 유력한 자동차보험에서 보험료가 인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배홍/금융소비자연맹 보험국장: 어느 부분은 적자라서 보험료만 올려 처리하려고 하고, 어느 부분은 흑자가 났지만 보험료 인하는 난색을 표하면서 자기들 챙길 건 다 챙기고 이런 인식을 주면 소비자들이 어떻게 보겠어요…]
반면 보험업계는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난색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며 기록한 `반짝 흑자`인데다가 보험료 인상 요인들이 추가로 존재한다는 겁니다.
[보험업계 관계자: 코로나 단기 요인이라는 것 하나, 그리고 11~12월에 손해율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 하나, 정비 공임이 4.5% 인상된 것 하나…그런 건 발생 손해액에 바로 얹히는 부분이니까, 결국은 그 부분에 대한 요인들로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
실제 자동차보험 분야 영업 손익은 최근 10년간 한 해를 제외하고 모두 적자를 기록해왔습니다.
이 가운데 금융당국은 보험료는 합리적으로 결정돼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입니다.
[이동엽/금융위원회 보험과장: 지난해 흑자를 봤고, 금년에도 코로나 상황이 어느 정도 지속이 되는 점, 그리고 의무보험인 점 등을 감안해서 자동차 요율이 합리적으로 결정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양측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는 가운데, 절충점을 찾지 못할 경우 올해 자동차보험료가 동결될 수 있다는 관측도 고개 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