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스템임플란트에서 발생한 `1,880억원 횡령 사건`의 후폭풍이 금융권으로 번지는 가운데 거액의 대출을 내어준 은행권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채권 부실화 위험을 떠안은 은행들은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신용등급 재평가 논의에 착수하고 편입 펀드 판매를 중단하는 등 진화에 나섰지만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3분기말 기준으로 오스템임플란트가 은행권으로부터 장단기로 빌린 돈은 약 3천억원.
이후 회계연도말 상환조치에 따라 현재는 대출 규모가 1,600억원대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가장 많은 대출을 해준 우리은행은 대출 잔액의 절반 가까이를 회수했으며 기업은행 대출도 100억원 이상 상환됐습니다. 대구은행도 100억원 규모의 대출금 전액을 회수했습니다.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대출금의 3분의 1이 회수된데다, 부동산 담보와 현금성 자산 보유 등으로 회사의 펀더멘탈이 튼튼해 부실 위험은 크지 않다는 것이 채권은행들의 입장입니다.
또 기업을 부실기업으로 낙인찍고 추가 신규대출을 막는다는 점에서 채권을 회수하기 위한 `채권보전조치`까지는 하지 않을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습니다.
다만 채권은행들은 주식시장에서 거래정지 사유가 발생한 만큼 신용등급 재평가를 논의하는 후속조치에 나섰습니다.
[A채권은행 관계자 : 어느 은행이나 이런 이슈가 있으면 들여다봐야죠. 횡령규모 등이 재무나 주가에 영향을 주는지를 보는 거죠.]
[B채권은행 관계자 : 채권보전은 가능한 범위에 들어가 있고 부동산 담보도 있어서 현금흐름은 나오는 데니깐...면밀하게 주시하면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횡령 직원 검거에도 자금회수가 어떻게 이뤄질 지 여부가 불투명해 채권은행들은 경찰 수사와 금융당국 모니터링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한다는 입장.
여기에 부실감사 의혹에 회사 신뢰도가 낮아진데다, 증권사의 최규옥 회장의 주식담보대출금 회수까지 예고돼 현금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자금회수가 불투명해지거나 횡령금액이 영업외 손실로 잡히면 채권은행들은 신용등급 재평가로 대출 만기를 앞당기거나 금리를 높이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주가에는 악영향을 미쳐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됩니다.
하나은행 등은 주가하락 우려에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펀드 판매를 중단하는 선제조치에 나섰지만 `은행 감시망 미비`,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 속에 투자자들 사이에선 `은행 책임론`에 대한 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