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0.99

  • 3.40
  • 0.12%
코스닥

845.39

  • 3.40
  • 0.40%
1/3

"을지로3가·신용산역 '이름' 팝니다"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무임소송 손실 타개책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을지로3가·신용산역 `이름` 팝니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서울교통공사가 을지로4가, 역삼 등 서울 지하철 8개 역에 이어 을지로3가, 신용산 등 2개 역을 대상으로 `역명 병기` 유상 판매에 나섰다.

역명 병기 유상 판매는 지하철역 이름 옆이나 밑 괄호 안에 인근 기관이나 기업, 학교, 병원 등의 이름을 함께 표기하고 사용료를 받는 것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을지로3가역과 신용산역을 대상으로 역명 병기 유상 판매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4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는 앞서 지난해 8월 을지로4가, 노원, 뚝섬, 역삼, 발산, 내방 등 8개 역을 대상으로 역명 병기 계약을 맺을 사업자를 찾기 위해 공개 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공개 입찰 후 사업자 선정 과정 등을 거쳐 을지로4가역은 `을지로4가(BC카드)`로, 역삼역은 `역삼(센터필드)`으로, 내방역은 `내방(유중아트센터)`으로 역명이 함께 표기됐다.

공사 측은 역명 병기 사업으로 연평균 약 25억원의 수익을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역명 병기 사업은 2016년 처음 시작됐으며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합쳐져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한 뒤에는 추가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매년 누적된 적자에 코로나19로 승객이 줄면서 서울교통공사는 재정난 타개를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역명 병기 사업을 다시 추진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2016년 3천850억원이던 당기순손실은 2017년 5천254억원, 2018년 5천389억원, 2019년 5천865억원으로 3년간 5천억원대였으나 2020년에는 1조1천137억원으로 1조원을 넘겼다.

공사 측은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2015년 이래 동결된 지하철 요금과 연간 수천억원에 이르는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을 꼽고 있다.

지난해 1∼10월 공사의 당기순손실은 7천907억원으로 이 중 28.9%에 해당하는 2천283억원이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