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장기 연구에서 비만 기준을 상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태익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과 교수팀이 서울 거주 성인 (2004~2005년 약 240만명, 2009~2010년 약 400만명, 2014~2015년 약 480만명)을 대상으로 최대 15년간 추적관찰한 결과다.
현재 국내는 체질량지수(BMI,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숫자)를 비만의 기준으로 삼는데 ▲해당 숫자가 18.5 이하면 저체중 ▲18.5~24는 정상 ▲25이상은 비만이다(만 19세 이상, 2018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기준).
●질환 발생·과도한 감량 위험 없는 새 기준 필요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암 같은 여러 질환 발생 위험 뿐 아니라 사망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거, 질환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며 비만 기준으로 제시된 `BMI 25(kg/㎡)`는 1990년대 초반에 나온 수치다. 또한 최근에는 10~30대를 대상으로 `개말라` `뼈말라` 등 마름을 지향하는 분위기가 퍼지면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감량이 유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질병으로서의 비만은 사망 위험과 질환 발생 위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며 "비만 정의를 위한 기준점 재정립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BMI 30 넘어야 사망 위험 커져연구 결과, BMI와 사망 위험도를 살폈을 때 30 이하에서는 위험이 커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BMI 27~29 수준이면 통통한 체형으로 보일 수 있으나 사망 위험이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30 이상이면 숫자가 커질수록 단계적으로 사망 위험도 증가했다.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을 고려하면 BMI 23이상 25미만일 때 위험이 가장 적었다.
연구팀은 "비만 관련 합병 질환 발생의 위험 측면에서는 국민들의 BMI 감소가 중요한 건강 관리 전략의 목표로서 의미를 가질 수는 있겠으나, 사망 위험 측면에서는 BMI 23~29.9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에서 위험 증가와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을 규명했다"며 "국내 비만 진단을 위한 기준 역시 국제적 추세에 부응하여 질병 위험과 사망 위험이 동시에 높아지는 BMI 30이상으로 상향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