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0.10

  • 45.62
  • 1.86%
코스닥

690.80

  • 14.96
  • 2.21%
1/3

금리 올랐지만…1억원 맡겨도 연 이자 고작 25만원 더

1억원 1년 예금 이자, 고작 25만원 더
예금 금리 0.11%p↑, 적금 금리 0.07%p↑, 가계 대출금리 0.44%p↑
은행 마진↑·대출규제 영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은행들이 하나둘씩 예·적금 금리 인상에 나서고 있습니다.
최대 0.3%p까지 오를 전망인데요.
실제 금융소비자들은 예·적금 이자를 얼마나 더 받을 수 있을까요.
김보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케이뱅크를 시작으로 주요 은행들이 하나둘씩 예·적금 상품의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인상폭은 다르지만, 정기 예적금 금리는 연 1% 초·중반대까지 오를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이 같은 예·적금 금리 인상이 코인이나 부동산으로 쏠린 자금을 다소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한 금통위원은 “여신금리가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수신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 경제주체들의 수익추구 행위가 확대되면서 주택 등과 같은 자산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만식/ 경기도 김포시: 금리는 만족하지 못하죠. 그래도 10% 정도 이상은 올라야죠.]
[오정민/ 서울시 광진구: 그래도 3~4%는 돼야…조금 더 높았으면 하는데…현재 주식 투자하고 있고요. 주식은 수익률을 좀 보고 하고 있어요.]
예·적금으로 얻을 수 있는 이자 수익이 시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한국경제TV가 수신금리 인상분을 반영해 분석해본 결과, 1억 원을 1년간 예금 상품에 넣어둔다면 이자상승분은 많아야 30만 원 남짓.
하지만 이 마저도 15.4% 세금을 제외하면 25만3,800원으로 줄어듭니다.
적금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월 100만 원씩 1년간 적금을 들었다면 금리 인상 전보다 이자로 최대 1만6,500원 정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낮은 예·적금 금리는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예·적금 상품의 실질금리는 올해 들어 줄곧 마이너스대.
예·적금에 돈을 넣으면 넣을수록 오히려 손실이라는 의미입니다.
올 들어 물가상승률은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결국 예·적금으로 손실을 보지 않으려면 현 물가 수준에서는 은행 수신금리가 최저 2.6%는 넘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한국경제TV 김보미입니다.

<앵커>
앞서 리포트에서 이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적금 이자가 얼마나 늘어나는 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대출 이자도 오를 것이라는 전망인데, 얼마나 오르나요.

<기자>
먼저 그래프를 보시죠.
한국은행의 7월 가계 가중평균 대출금리를 보면 지난해 8월 2.55%를 기록한 이후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예금 금리는 0.11%포인트, 적금 금리는 0.07%포인트 각각 오를 동안 가계 대출금리는 0.44%포인트나 올랐습니다.
한은이 지난 2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것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 전부터 대출 금리가 오른 셈입니다.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을 나눠 금리가 얼마나 올랐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7월 취급된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4.10%로 지난해 8월(3.28%)보다 0.82%포인트 올랐고요.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2.94%로 지난해 8월(2.48%)보다 0.4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예·적금 금리 인상폭보다 가계 대출금리 인상폭이 훨씬 큰데요. 왜 그런겁니까.

<기자>
먼저 대출금리가 어떻게 정해지는지부터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대출금리는 지표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집니다.
코픽스와 양도성예금증서, 은행채 등 가계대출 기준이 되는 지표금리가 올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출금리가 많이 오른 이유는 가산금리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앵커>
가산금리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기자>
주택담보대출보다 금리변화 속도가 빠른 신용대출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과 위기관리 비용 등의 원가에 마진을 붙인 후 고객 거래실적 등의 우대금리를 빼면 가산금리가 정해집니다.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어떻게 산정하는 지 영업비밀로 두고 공개하지 않고 있죠.
하지만 금리 공시자료를 통해 추측은 할 수 있습니다.
표로 보겠습니다.
지난 1년간 은행들의 신용대출 금리 변화입니다.
이 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가산금리를 원가에 마진을 더한 것과 우대금리로 구분했습니다.
지표금리 변화보다 대출 금리가 많게는 7배 넘게 오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유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처럼 `원가 + 마진`을이 크게 늘렸든가, 하나은행이나 우리은행처럼 `우대금리`를 크게 줄인 것이죠.

<앵커>
이 부분을 어떻게 해석하면 됩니까.

<기자>
1년 동안 자금조달 비용이나 위기관리 비용 등 원가가 크게 늘었다고 보긴 어렵거든요.
그렇다면 은행들이 마진폭을 키웠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죠.
우대금리 축소 같은 경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금융당국이 은행권을 상대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는 점이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은행이 오늘(1일)부터 주담대 상품의 우대금리 한도를 0.3%포인트 줄이고, 전세대출 상품의 우대금리 항목을 줄이기로 한 것이 하나의 예인데요.
실제 우리은행의 1년간 신용대출 금리 변화를 보면 우대금리가 큰 폭으로 줄어든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은행이 연내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수도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그렇다면 금융소비자들의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지겠군요.

<기자>
가산금리 결정은 은행이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이 때문에 금융소비자들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금융당국은 가산금리가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산정될 수 있도록 검사하는데요.
문제는 금융당국이 대출 억제를 위해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을 암묵적으로 용인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앞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실제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 주문에 금리 인상이나 한도 축소 등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결국 금리 인상에 `깜깜이` 가산금리까지 더해지며 금융 소비자들은 `예·적금 이자는 쥐꼬리인데 대출이자는 왜 이렇게 비싸지` 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