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당 가격이 50만원을 웃도는, 이른바 고가주가 올해 들어 크게 늘었습니다.
이들 고가주 대부분은 미래 유망성장 산업군에 속한 종목들로 시장에서 특히나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한 주당 몇십만에 달하는 만만치 않은 가격에 개인투자자들의 접근이 여의치 않은 게 현실입니다.
이러다보니 국내 유망 성장주에 대해 외국인들 대비 개인투자자들의 상대적 소외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주가 100만원을 찍으며 `황제주` 반열에 올라선 삼성바이오로직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0826/B20210826150251527.jpg)
그룹 차원의 대규모 투자 계획 등과 맞물리면서 향후 주가에 대한 기대감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 주당 100만원에 육박하는 주가는 개인투자자들 입장에선 다소 부담스런 수준입니다.
3~4주만 사 놓으려고 해도 왠만한 회사원의 한달치 월급과 맞먹는 규모입니다.
문제는 개인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수준의, 이른바 고가주들이 올해 들어 크게 늘어나면서 대형우량주를 중심으로 한 개인투자자들의 상대적인 소외가 우려된다는 점입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0826/B20210826150331020.jpg)
실제, 올해 들어 8월 현재 한 주당 주가가 50만원이 넘는 종목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엔씨소프트, LG화학, 효성티앤씨 등 13곳으로, 지난해 8곳에 비해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이들 종목 대다수는 바이오와 2차전지 등 미래 유망성장 산업군에 속한 종목들로 시장의 관심 역시 적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코스피 전체적으로는 올해들어 외국인 비중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이들 종목 상당수는 외국인투자자들의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0826/B20210826150418600.jpg)
엔씨소프트의 경우 외국인 비중은 지난해말 48.7%에서 51.5%로 2.8%포인트 늘었고, LG화학은 42.5%에서 47.2%로 외국인투자자 비중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효성티앤씨(17.6%->22.8%)도 외국인 비중이 크게 확대됐습니다.
이와 관련,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액면분할이 (대안으로) 가능할 수 있는데, 이는 상장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안"이라며 "주식수가 늘어나면 관리의 어려움 등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어디까지나 상장사의 필요에 따라 결정할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시장을 주도하며 `V`자 반등을 일궈낸 동학개미.
몇 십만원에 달하는 한 주당 높은 가격으로 대형우량주에 대한 개인들의 소외 현상이 심화될 경우, 최근의 증시 변동성 확대와 맞물려 개인투자자들의 증시 이탈현상이 나오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경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