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테크래시’가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종목들과 FAANG, MAGA 등 미국의 빅테크 종목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서학개미들의 고민도 늘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 안녕하십니까? 지난 주말 미국 3대 지수는 인플레 부담으로 동반 하락했는데요. 특이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해주시지요.
-월가, 인플레 부담→3대 지수 ‘동반 하락’
-6월 CPI 5.4% PPI 7.3%…예상 크게 상회
-내년 6월 기대인플레이션, 4.8%로 급상승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절약의 역설’ 우려
-절약의 역설, 인플레 대비 저축→경기둔화?
-美 10년물 국채금리 1.30% 재붕괴, 경기둔화?
-FGI 변화
-1년 전 1개월 전 1주일 전 현재
-62 45 33 23
-빅테크주, ‘테크래시’ 부담으로 연일 하락
Q.옐런 재무장관이 대통령 금융시장 실무그룹 회의를 현지 기준 19일에 소집한다는 소식도 있는데요. 오랜만에 열리는 특별한 의미가 있지 않겠습니까?
-레이건 대통령 시절, 1988년 3월에 설립
-1987년 10월 블랙먼데이 이후 위기 개발 방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직후 열려
-옐런 주도, 파월 등 금융시장 관련자 참가
-스테이블코인 문제 협의, 가상화폐 존재 인정
-파월, CBDC 도입 때 가상화폐 불필요 대조
-CBDC와 비트코인 간 교환비율, 초미 관심사
Q.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각종 신조어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요즘 월가에서 최대 화두인 ‘테크래시’는 무엇인지.. 그 의미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월가의 최대 화두이자 신조어 ‘테크래시’
-tech-lash=technology+backlash 합성어
-빅테크에 대한 반발과 빅테크의 반발 포함
-코로나19 사태 계기, 빅테크 기업 전성시대
-빅테크 ‘bonanza’ 저소득층 ‘scaring’ 효과
-사회주의 ‘인민’ 민주주의 ‘저소득층’ 중시
-국가와 빅테크 간 힘겨루기…‘테크래시’ 확산
Q.상황상 가장 강력한 대응을 하는 국가가 중국인데요. 일명 ‘돈나무 언니’로 잘 알려진 캐시우드도 중국의 빅테크 업종을 대거 처분한다는 소식이 있죠?
-시진핑 정부, 빅테크 기업 대상 전방위 견제
-해외 상장 규제, 美 등 해외상장기업 허가제
-빅데이터 규제, 기업 데이터 국가와 공유제
-반독점 규제, 반독점법 빅테크에 적용 확대
-금융업 규제, 빅테크 기업 금융겸업 신고제
-지배구조 규제, 지분없이 기업지배(VIE) 금지
-시진핑 정부, 빅테크 기업 대상 전방위 견제
-해외 상장·빅데이터·반독점·금융업·지배구조 규제
-알리바바·텐센트·디디추싱·바이트댄스 ‘곤혹’
-중국의 빅테크 기업 규제
-해외상장 제한 회원 100만명 이상 인터넷 기업, 해외상장 허가제
-빅데이터 공유 민간기업 보유 데이터, 국가와 공유 요구
-반독점 규제 인터넷 기업에 대한 반독점법 적용범위 확대
-금융업 규제 은행급 감독 받는 금융지주사 설립 의무화
-지배구조 강화 지분없이 기업을 지배하는 가변이익실체(VIE) 규제
-자료 : 한국경제신문
Q.미국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가 연일 쏟아져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바이든 대통령, 국민의 화합과 통합 강조
-기업인인 트럼프, 빅테크 기업 오히려 조장
-기업 혹은 계층 간 양극화, 민주주의 위협
-경쟁 없는 자본주의, 자본주의 아니라 착취
-FTC 위원장에 아마존 킬러 ‘리나 칸’ 임명
-‘킬러 인수’ 제한, 과거 M&A 승인 재검토
-각종 플랫폼 독점 종식 법률안 제정 추진
-애플, 아마존 등 자사제품 수리권 제한 완화
-핵심 인재 이직 제한, 망 중립성 콘텐츠 경쟁
-미국의 빅테크 기업 규제
-경쟁사 인수 제동 킬러 인수 제한, 플랫폼 독점 종식법 추진 등
-소비자 권리 강화 애플 등 제품 수리권 확대
-직원 권리 보호 핵심 인재의 경쟁사 이직 제한 완화 등
-망 중립성 확보 콘텐츠 기업 경쟁 촉진 활성화 도모
-경쟁정책 강화 연방거래위원장에 ‘아마존 킬러’인 리나 칸 임명
-자료 : 한국경제신문
Q.중국과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어떻습니까? 정도 차가 있긴 하겠습니다만 테크래시는 세계 모든 국가가 당면한 문제이지 않습니까?
-유럽 등 타국, 역외 빅테크 테크래시 문제
-EU, FAANG 등 美 빅테크 반독점 벌금 부과
-디지털세 부과, 글로벌 최저세율 합의로 중단
-韓, 2015년부터 G20에서 일찍부터 건의 주도
-홍 부총리, G20 최저세율 20%로 인상 건의
-우리 내부에서는 대기업 규제 차원 ‘테크래시’
-디지털세 합의, 디지털 통상시대 공식 개막
Q.G20 회의에서 글로벌 최저법인세율 합의를 계기로 디지털 통상시대가 열렸다고 설명해주셨는데.. 테크래시를 비롯한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지 않습니까?
-디지털 콘택트 시대 맞춰 ‘디지털 통상시대’
-디지털 경쟁정책 라운드, 빅테크 독점 규제
-디지털 블루 라운드, 빈곤층 고용 차별 방지
-디지털 기술 라운드, APT와 랜섬 웨어 차단
-디지털 환경 라운드, 무관세 모로토리움 방지
-각국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 도입 일정 앞당겨
-BIS, 세계 모든 국가의 86% 디지털 통화 도입
-Fed, 美 디지털 달러 국제표준화 방안 ‘재확인’
Q.우리 입장에서도 테크래시 문제가 현실로 닥치고 있는데요. 서학 개미들은 빅테크 보유 종목을 어떻게 해야 합니까?
-카카오 모빌리티, 가맹 택시 ‘블루’ 콜 몰아줘
-일반 유료회원, 뒷전으로 물러난다 ‘볼멘소리’
-배달 서비스, 골프장 이용 등에서 빈번 발생
-관련업체, AI로 배차한다고 알고리즘 핑계
-해당 플랫폼에 특정변수 가할 경우 결과 달라
-서학개미, 빅테크 종목 ‘전반적인 점검’ 필요
-연말 겨냥, 배당 성향 높은 종목 위주로 재편
-2분기 경기와 실적 정점론, 현금 30% 이상 확보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