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상반기 수출 증가와 국내외 소비심리 회복세에 힘입어 국내 화장품 업계는 2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델타 변이 확산으로 사실상 `코로나 셧다운`이 현실화되면서 화장품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선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 상반기만 해도 국내 화장품 업계에는 낙관론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마스크 없는 일상을 되찾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실제 지난 달 화장품 수출 실적은 1년전 같은 기간에 비해 37.1% 증가한 6억 달러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 중국, 홍콩 등을 중심으로 `K-뷰티`의 인기가 회복되면서 2분기 화장품 업계의 실적 기대치도 높아졌습니다.
LG생활건강은 지난달 중국 온라인 쇼핑 행사인 618 페스티벌에서만 6개 럭셔리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보다 70% 이상 성장했습니다.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중국 시장의 소비심리 회복의 수혜를 누린 겁니다.
이에 증권가에서도 LG생건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16%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럭셔리 브랜드 `설화수`와 온라인 채널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빠르게 진행한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증권가에서 예측한 아모레퍼시픽의 2분기 영업이익은 1,114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200% 늘어난 수준입니다.
일본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브이티코스메틱을 보유한 브이티지엠피도 영업이익이 244% 급증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문제는 델타 변이바이러스 여파로 `코로나 셧다운`이 현실화되면서 화장품 업계에 다시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는 점입니다.
7월 휴가시즌과 해외여행 개시에 따른 백화점·면세점 매출 증가치가 하반기 실적에 반영될 것이란 기대감이 사라진 겁니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 :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준비하고 있었고, 여름 바캉스 시즌을 맞아 선크림이라든지 메이크업 제품이라든지 여름 휴가철을 타깃으로 해서 제품을 생산해 놓았는데, 갑작스럽게 확진자가 늘어나고 다시 거리두기 등이 강화되면서 예상했던 매출이 못 나올 것 같다는 불안감이 있고요.]
증권가에서도 코로나 확산세에 따른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만큼 하반기 업계 전망에 대해선 예측조차 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증권사 관계자 : 지금 상황에서는 조금 어려운 게 사실인 것 같고요. 작년보다는 올라올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아무래도 언제 개선될 지에 따라서 실적과 센티먼트 (투자 심리) 부분들이 많이 바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한 수출 전략의 비중이 올해 하반기 국내 화장품 업체들의 운명을 좌우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경제TV 김선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