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김정숙 여사 "다음 멸종위기는 인간…경고 잊지 않아야"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방문
"코로나는 인류가 한 일의 결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정숙 여사 "다음 멸종위기는 인간…경고 잊지 않아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멸종위기 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서 "코로나19는 인류에게 우연히 일어난 일이 아니라 ‘인류가 한 일들의 결과’라는 말을 되새겨 본다"며 인간과 자연의 연대를 강조했다.

김 여사는 6일 오후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에서 열린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개소식에는 생태시범학교인 서천 마동초등학교 어린이들도 함께 했다.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은 밀수 적발 후 몰수되거나 불법사육 중 유기된 멸종위기동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뿐만 아니라 국내 생태계 교란을 막고 국민 안전과 보건을 지키기 위해 건립됐다. 연면적 2,162㎡ 규모의 시설 건립으로 국립생태원이 지난 2014년 4월부터 보호해 온 국제적 멸종위기종 17종 60개체를 포함해 140여 종 580여 개체의 야생동물 수용이 가능해졌다.

김 여사는 "UN이 발표한 ‘야생생물 거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의 야생생물 불법거래 적발 건수는 매년 약 1만3천여 건에 달하며, 지난 20년간 불법 포획된 야생동물은 6천여 종에 달한다고 한다"며 "야생동물의 남획과 밀거래가 계속된다면 수많은 멸종위기동물은 지구에서 영원히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여사는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은, 지구를 함께 지키는 지구의 주민"이라며 "생물다양성이 사라져 가는 지구에서 인간만이 안전할 수는 없다"고 우려했다. 또 "지금 인류는 코로나 19로 예기치 않았던 감염병과 맞서 싸우고 있다"면서 `바이러스는, 지구 생태계라는 공동체의 안전망을 무너뜨리고 있는 인간에 대한 경고`라는 생태학자들의 말을 소개하기도 했다.

아울러 "수십 년 내 지구상 생물의 12%가 넘는 백만여 종이 멸종될 수 있다는 위험신호 앞에서 `다음 멸종위기종은 인간`이라는 경고를 잊지 않아야겠다"며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일상 속의 실천을 강조했다.

김 여사는 어린이들 5명과 함께 `야생동물을 위한 우리의 다짐` 선언문을 낭독하고 함께 기념사진도 찍었다.

김 여사는 지난 5월 P4G 서울 정상회의 계기 업사이클링 작품전, ‘새활용 의류전’ 등을 통해 기후위기 행동실천을 적극 홍보했다. 지난달 오스트리아 순방 중에는 멸종위기식물을 연구하는 비엔나대학 식물연구원들과 간담회를 갖는 등 지구를 위한 행보를 이어왔다.

임세은 청와대 부대변인은 "멸종위기동물 보호시설 개소와 김 여사의 국립생태원 방문이 국제적 멸종위기동물 보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길 바라며, 우리의 작은 실천들이 인류의 생태계가 ‘함께 사는 지구’로 한 발짝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