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1

멕시코, 기준금리 0.25%P 인상...신흥국·유럽 도미노 인상

체코·헝가리 등 동유럽, 브라질·터키·러시아 기준금리↑
노르웨이, 9월 금리인상 시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멕시코, 기준금리 0.25%P 인상...신흥국·유럽 도미노 인상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전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잇따라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멕시코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4.00%에서 4.25%로 0.25%포인트 올렸다. 멕시코 중앙은행은 성명에서 "인플레이션의 부작용을 피하고 물가 상승률 3% 목표치로 수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멕시코의 이달 전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02%까지 치솟으며 목표치(3.00%)를 크게 웃돌았다.
최근 동유럽 국가들도 긴축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날 체코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올렸다. 헝가리 중앙은행 역시 22일 예고한 대로 기준금리를 10년 만에 기준금리를 0.6%에서 0.9%로 인상했다. 이는 유럽연합(EU) 회원국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취해진 첫 주요 통화 긴축 사례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아이슬란드는 지난 5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서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깜짝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당시 아이슬란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75%에서 1%로 올렸다.
다른 유럽 국가들도 조금씩 긴축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는 상태다. 노르웨이는 이르면 오는 9월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시사한 바 있다.
앞서 브라질, 터키 러시아까지 신흥국들도 물가상승 압력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잇따라 인상했다.
특히 브라질은 지난 3월 이후 기준금리를 세 차례 연속 인상했다. 3월엔 2%에서 2.75%로 오른 뒤 지난달 초에도 3.50%로 상향 조정됐다. 이달엔 3.50%에서 4.25%로 0.75% 포인트 올랐다.
터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17%에서 19%로 상향했으며 러시아 역시 기준금리를 3년여 만에 4.25%에서 4.5%로 올렸다.
이들 국가 모두 글로벌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선택했다.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불황으로 전 세계 국가들이 금리를 인하하고 돈을 푸는 부양책을 썼지만 최근 물가가 치솟자 더 이상 인플레이션을 지켜만 보고 있을 수는 없었다는 분석이다.
외화 자금 유출도 경제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들의 큰 고민거리다.
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선제적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금리 인상 예상 시점이 기존 전망치보다 2023년으로 1년여 앞당겨져 시장에서는 연준의 조기 긴축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