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dnrs/20210601/B20210601101944250.jpg)
글로벌 투자은행 UBS는 최근 중국에 신흥 부자들이 급증하는 것을 주목하며, 이들의 소비 여력 확대에 따른 투자 기회도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전문매체 CNBC에 따르면 UBS는 중국의 부자들이 젊어지고 있고, 또 60대 이상의 시니어들은 `전례 없는 부`를 누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 세대별 소비 행태에 맞춰 헬스케어와 기술업종 기업을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UBS가 선정한 종목들을 살펴보자.
● 신세대
UBS에 따르면 `젊고 부유한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종목들은 다음과 같다.
- 중국의 대형 인터넷 기업 `텐센트`
- 동영상 공유 기업이자 틱톡의 라이벌 그룹인 `콰이쇼우 테크놀로지`
- 전자상거래 기업 `메이투안`
- 중국 1위 주방가구제조사 `오파인`
- 홍콩 가전업체 `JS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 식료품 기업 `칭타오 맥주`
- 식료품 기업 `챠챠 푸드`
UBS가 선정한 종목들은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급증한 중국의 7차 인구조사 결과에 따른 것인데 UBS는 젊은 세대가 기성 세대의 부를 상속받으면서 현재 `중대한` 소비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UBS의 분석가들은 중국이 지난 2016년 부모가 두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 이후 다음 세대로 자산이 이동하면서 신세대가 강한 소비력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때 신세대는 1980년대 초에서 2000년대 후반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UBS는 이 연령대가 향후 10년 동안 중국의 `최대 소비자`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젊은 소비자들이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대중화와 함께 성장했다"며 "이들은 기성 세대들보다 더 잘 교육받았다. Z세대가 문화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지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기성세대
기성 세대들이 선호하는 종목들은 주로 헬스케어 업종이었다.
- 중국산 코로나19 백신 `시노팜`의 제조업체 `중국 바이오 제약`
- 중국 제약사 `우시 바이오로직스`와 `파마론`
- 중국의 대형 안과 체인 `애이안과`
- 진단키트 제조사 `아모이`
UBS는 "중국의 베이비붐 세대가 정년이 되면서 그들의 전례 없는 재산이 새로운 사업의 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분석가들은 중국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기업들의 새로운 전망을 기대하고 있는데 "현재 매우 필요한 서비스 중 많은 부분이 공급부족 상태며 이는 새로운 사업들이 출현하고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