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3일부터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 구성 종목에 한해 공매도가 가능하다.
코로나19 사태 발 폭락장에 지난해 3월 16일부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지 약 1년 2개월 만이다.
공매도 금지 기간에 주식시장이 빠르게 회복한 만큼 주가 하락을 부추길 수도 있는 공매도가 다시 시행되면 증시가 타격을 받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실적 장세로 진입하는 최근 시장 환경을 고려하면 공매도가 재개되더라도 증시 전체를 뒤흔들만한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 영향이 전혀 없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현재 금융시장 여건 측면에서 외국인이든 기관이든 적극적으로 공매도할 상황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어 "높아진 주가수익비율(PER)은 양적완화와 저금리로 정당화되고, 특히 건강관리·인터넷 업종의 높은 PER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며 "올해와 내년 기업실적 기대가 커지고 있어 공매도의 득이 실보다 크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도 "1년 2개월 만에 재개되는 공매도지만 현재 시장의 유동성 수준과 기업실적 개선 국면을 고려할 때 주식시장에 시스템적 충격을 줄 수 있는 변수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개별 종목별로는 최근 실적과 주가 흐름에 따라 공매도에 취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균 연구원은 "종목별로 가격 변동성을 높일 수 있는 수급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실적 대비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이 부담스럽고 연초 이후 외국인의 매도가 지속된 종목들은 상대적으로 공매도 압력에 노출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당장 숫자로 확인 가능한 1분기 실적이 기대 이하로 나온 종목은 공매도 세력의 표적이 되기 쉬운 종목으로 꼽힌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공매도는 펀더멘털이 안 좋은 종목에 나올 것이고 현시점에서 가장 빠르게 확인할 지표는 1분기 실적"이라며 "이익 부진이 예상된 종목의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다면 경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식시장에서는 공매도의 선행지표로 통하는 대차잔고가 증가하는 등 공매도 재개를 준비하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금융투자협회가 집계한 지난 23일 기준 대차잔고는 13억4천691만주, 금액 기준으로는 54조335억원이다.
대차잔고 금액은 지난달 23일의 50조8천889억원 대비 한달새 3조1천446억원 늘어났다. 작년 말 46조5천980억원과 비교하면 7조4천356억원 증가했다.
공매도 투자자는 대차거래로 미리 주식을 빌려 판 뒤 주가가 하락하면 싼값에 사들여 갚는다. 대차거래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을 빌리고서 갚지 않은 물량이다.
투자자들이 향후 주가 하락을 예상하면 공매도에 필요한 대차 물량을 늘릴 수 있어 대차거래 잔고는 공매도 대기 물량을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로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