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푸드 열풍 덕에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국내 식품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중국산 김치 논란처럼 예상치 못한 악재들이 잇달아 터지고 있는데다, EU도 수입식품에 대한 규제 강화를 예고하고 나섰기 때문입니다.
고영욱 기자입니다.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중국산 수입 김치 실태조사에 나섰습니다.
식약처는 오늘부터 6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조사를 통해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장균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예정입니다.
최근 중국에서 한 남성이 알몸으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국내 연간 김치 소비량의 15%(약 28만 톤)를 차지하는 수입김치는 99%가 중국산입니다.
중국 일부 언론과 유튜버들이 김치는 중국 음식이라고 우기는 상황이 겹치면서 중국산 김치 불매운동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불똥은 중국에 김치를 수출하거나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는 대상과 CJ제일제당, 풀무원과 같은 국내 식품업계로 튀었습니다.
김치를 중국식 이름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해서 팔고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식품업계 관계자 : 핵심은 김치가 파오차이에서 유래했다는 건데. 이 사태가 민감해서 예전에 사드사태처럼 국내는 중국 불매운동하고 중국은 한국 기업 다 나가라고 하고 이렇게 할 수 있으니까 그런 상황은 안 벌어졌으면 좋겠고요.]
여기에 유럽연합 EU가 다음달 21일부로 복합식품수입규정을 강화하기로 한 것도 부담입니다.
육류나 수산물, 우유와 같은 동물성 원료가 들어가는 식품 수입을 까다롭게 바꾸는 것이 핵심인데 젓갈을 쓰는 김치나 라면과 같은 핵심수출 품목이 모두 해당됩니다.
원료를 납품하는 협력업체까지 모두 EU 인증 받지 않으면 수출이 막히는 만큼 식품업체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중국과 EU에 수출한 농식품 수출액을 합치면 약 17억 달러.
식품업계는 개별 기업단위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일련의 상황에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