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크로마] 패러다임의 전환…2021년 산업정책 키워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저성장과 양극화 심화라는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 경제.

여기에 일자리 충격까지 더해지면서 산업의 근간마저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는 올해 어떤 정책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오늘 이슈플러스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정책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신용훈 기자가 올해 추진될 핵심정책을 뽑아봤습니다.

<기자>

올해 산업정책의 가장 큰 줄기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로 불리는 K-뉴딜 입니다.

지난해 7월 우리 정부는 미국의 뉴딜정책에 버금가는 한국판 뉴딜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가 대전환을 위한 착수기 였다면 올해는 본격적으로 투자와 제도 개선이 이뤄지는 시기가 될 전망입니다.

실제로 올해부터 내년까지 K-뉴딜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총 61조 원으로 지난해의 10배 수준입니다.

정부는 앞으로 2년 동안 재정과 민간투자를 통해 89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후 2025년까지 추가로 93조 원을 투자해 102만 개의 일자리를 더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데이터 경제를 가속화하기 위한 데이터 댐 사업과 5G. 블록체인을 활용한 지능형 정부 구축 사업, 빌딩에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시설을 설치하는 그린 리모델링 사업 등 K-뉴딜 10대 과제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올해 또 다른 산업정책 키워드는 수소경제 입니다.

2019년 1월 수소경제 로드맵이 발표된 이후 우리나라는 수소차의 경쟁력 뿐 아니라 수소의 생산과 수송, 공급망의 확대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진전을 이뤘습니다.

정부는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난해 수소법을 제정하고 수소경제위원회를 설치했습니다.

올해는 부생수소 생산기지와 글로벌 연료전지 발전시장을 확대하는 쪽으로 정책의 포커스가 맞춰질 전망입니다.

또, 울산과 안산, 전주 등 수소시범 도시로 선정된 전국 도시에 수소타운과 수소 인프라, 수소 모빌리티 허브 등을 구축한다는 계획도 가시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 키워드는 탄소중립입니다.

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선언한 2050 탄소중립 계획은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산업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정부는 올해 탄소중립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을 서두르고,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의 공정을 개선하는 작업을 추진합니다.

이와 함께 친환경, 저탄소 기술 기업을 지원하고,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의 사업전환을 유도하는 정책도 병행한다는 방침입니다.

2021년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 패러다임의 변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우리 경제가 나아갈 길을 찾는 중대기로가 될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