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주식경제> 태평양 건너온 '친환경' 바람...국내 '그린뉴딜株' 수혜볼까? [美 대선과 한국 증시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주식경제> 태평양 건너온 `친환경` 바람...국내 `그린뉴딜株` 수혜볼까? [美 대선과 한국 증시⑥]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 방송 : 한국경제TV <주식경제> (월~금 10:50~11:40)
● 진행 : 이종우 앵커
● 출연 : 한세원 신한금융투자 부장연구위원
 
누가 미국의 대통령이 되든 상관 없이 전력을 중심으로 하는 인프라 투자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중 신재생 에너지가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앞으로 예상되는 미국의 인프라 투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Q. 바이든의 공격적인 인프라 정책에 대해?
= 기후변화 대응 중심 친환경 · 지속 가능성
= 청정에너지 인프라 확충 위해 4년간 2조달러 투자
= 2030년까지 모든 신축건물 탄소배출 제거 등
 
Q. 바이든 정책 실효성에 대해?
= 상장주식 투자자들에게 정책 제시 자체는 좋은 재료
= 인프라자산 대체투자, 정책변동 리스크 매우 민감
 
Q. 에너지 인프라, 바이든 시대 신재생 에너지 전망은?
= 美 태양광·육상풍력 모두 세계최대 수준 설치용량 보유
= 美 절대다수 발전자산이 민간투자시설…美 인프라 시장 특징
= 정책수단 본격 시행 여부 따라, 태양광·풍력발전 투자확대 가속화
 
Q. 향후 美 발전 인프라 시장 전망은?
= 기존 용량 2배를 훨씬 초과하는 용량 설치 예상
= 전력 공급 안정성·유연성 요구 크게 부각될 전망
= 앞으로 현행 원전 공급비중은 가능한 한 유지 전망
 
Q. 에너지저장장치(ESS) 투자 관련 시장 동향은?
= 최근 美 신재생에너지 비중 높은 지역 중심 ESS 투자 증가
= 美 ESS시장, 주파수조정 등 보조서비스 시장 성장단계 막 벗어난 수준
 
Q. 바이든, 탄소배출 `0` 계획 내용은?
= 순배출량 0(Net Zero Emissions) 개념 채택
= 보다 근 미래 구체적 계획으로 2035년 발전부문 탄소 무공해 수준 제시
[바이든 기후 변화 대응정책 목표]
- 2050년 탄소배출 전면 `0` 및 2035년 전력부문 탄소 무공해
- 향후 4년간 청정에너지 · 지속가능 인프라 분야 2조달러 투자집행 제시
 
Q. 美 정권 교체될 시 온실가스 배출 관련 변화는?
= 2050년 중장기 Net Zero의 달성 위해 배출된 온실가스 포집 · 재흡수 ·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상용화 필수적
= 바이오연료 포함한 탄소 사용 · 재흡수 · 포집기술 R&D · 상용화와 스케일업 대규모 재원 지속 투입 예상
 
10시 50분부터 11시 40분까지 생방송으로 진행됩니다.
한국경제TV 시청안내(IPTV) olleh tv 180번 / Btv 151번 / U+tv 162번
김채은PD ckim@wowtv.co.kr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