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싸움을 말려보면 양쪽에서 주먹이 날아온다. "왜 내 편 안 들어주고 저쪽 편 들어주냐"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분배`라는 왼손과 `성장`이라는 오른손, 양손을 모두 써야 한국 경제가 나아진다고 차분하게 이야기한다.
이 책은 여러 미덕이 있다. 그 중 세 가지만 들라면 첫째, 경제 관련 서적에 자주 나오는 그래프나 화살표가 거의 없다. 그런 거 없이도 쉽게 읽힌다. 둘째, 적어도 입신양명을 목적으로 `경세제민, 이렇게 하십시오`라는 식으로 쓴 책이 아니다. `정치경제학` 시대에 정치색은 찾아보기 힘들다. 셋째, 용기 있는 책이다. 보수나 진보라는 진영 논리로 눈치 보지 않았다.
스티븐 S. 코언과 J. 브래드퍼드 들롱이 공저한 `현실의 경제학(2017)`과 비슷한 맥락이 있다. 케인지언이 주목하는 정부 부문과 시장주의자가 선호하는 민간 부문 어느 한쪽 힘만으로 미국 경제가 성장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소 충격적 수치로 `양손잡이` 필요성을 설득하기도 한다. `정부 규제의 부담` 순위는 한국이 중국보다 훨씬 높다. 중국 19위, 한국 87위다(WEF, 2019). 이 정도면 어디가 사회주의 국가인지 헷갈린다. `사회적 자본`은 사람 간 믿음의 정도, 가치관의 공유, 인간관계나 일체감 같은 것을 나타내는 척도다. 167개국 중 번영 지수는 29위로 상위에 있으면서도 사회적 자본은 142위다(OECD, 2020). `술`보다 `배신`을 권하는 사회 아니느냔 의구심이 들 수 있다.
코로나 이후 `넥스트 노멀`, 미-중 간 갈등, `축적의 시간` 필요성, `이해 관계자 자본주의` 등 대안적 고민도 빠트리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