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 뒷걸음질하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했다. 코로나19 타격이 애초 우려보다는 덜한 상황을 반영한 것이지만, 회복까지는 오래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
IMF는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서 "세계 경제는 4월 대봉쇄(Great Lockdown) 동안 급락했던 깊은 곳으로부터 올라가고 있다"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로 -4.4%를 제시했다.
이는 6월 내놓은 전망보다 0.8%포인트 오른 수치다. 그러나 지난 4월의 전망치보다는 -1.1%포인트 낮은 것이다.
앞서 IMF는 6월에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 침체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고려, 4월 전망 때보다 전망치를 1.9%포인트나 하향했다.
IMF는 6월 전망보다 나아진 데 대해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실적이 우려한 것보다 좋은 상황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IMF는 "여전히 심각한 침체(recession)이지만, 6월 전망에 비해선 다소 덜 심각할 것"이라며 그 요인으로 예상만큼 주요 선진국의 2분기 GDP가 부정적이지 않았고 3분기에 더 빠른 회복 조짐이 보이며 중국의 성장 복귀가 예상보다 강했다는 점 등을 꼽았다.
다만 코로나19가 계속 확산해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다시 올라서는 것은 오랜 기간이 걸리며 여전히 좌절을 겪기 쉽다고 지적했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로는 5.2%가 제시됐다. 4월 전망보다는 0.2%포인트 내려간 수치다.
IMF는 이번 보고서에 `길고 힘든 상승`(A long and difficult ascent)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당초 올해 전망치는 4월에 -3.0%가 제시됐다가 6월에 -4.9%로 더 내려갔으나, IMF의 통계 기준 변경에 따라 -3.3%와 -5.2%로 각각 이번에 수정됐다. 이는 세계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5월 발표한 세계 176개 국가의 새로운 구매력 평가 기준치(2017년 기준)를 적용한 데 따른 것이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등 연간 2차례 각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하고 1월과 7월 내놓는 수정보고서에서 주요국 중심으로 전망치를 조정한다. 올해는 6월에 수정치를 앞당겨 내놨다.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9%로 제시됐다. 지난 6월의 -2.1%에 비해 0.2%포인트 올랐다. 내년 성장률은 2.9%로 전망됐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은 -5.8%로 전망됐다. 이는 6월 전망보다 2.3%포인트, 4월 전망에 비해 0.3%포인트 높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4.3%로 전망됐다. 이는 6월 전망치보다 3.7%포인트나 오른 것으로, 주요 선진국 가운데 상향조정 폭이 가장 크다.
유로 지역은 -8.3%로 예상됐다. 이는 6월 관측보다 1.9%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 중 독일 -6.0%, 프랑스 -9.8% 등으로 전망됐고, 코로나19 피해가 큰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각각 -10.6%와 -12.8%로 예상됐다. 영국은 -9.8%다.
일본의 성장률은 -5.3%로 전망됐다.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은 6월 전망보다도 0.2%포인트 더 떨어진 -3.3%로 제시됐다.
아시아에서 중국은 1.9%로 6월 예상보다 0.9%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인도는 -10.3%로 6월 전망에 비해 5.8%포인트나 낮아졌다.
이밖에 러시아(-4.1%), 브라질(-5.8%), 멕시코(-9.0%), 사우디아라비아(-5.4%), 남아프리카공화국(-8.0%) 등 다른 주요 20개국(G20) 국가도 마이너스 성장이 전망됐다. 다만 6월보다 브라질은 3.3%포인트, 러시아는 2.5%포인트 전망치가 올랐다.
IMF는 "대규모의 신속하고 전례 없는 재정, 통화 정책과 규제 대응이 없었다면 결과는 훨씬 더 약했을 것"이라며 이런 조치가 2008∼2009년 금융위기 재발을 막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세계 경제가 회복되는 동안 상승은 길고, 고르지 않고, 불확실할 것"이라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고 국가별로도 차이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더 이상의 차질을 막으려면 정책 지원이 섣불리 철회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각국이 적극적인 재정 지원과 완화적인 통화 정책을 유지하면서 단기와 중기 과제를 절충해 관리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