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코로나19 항체보유율은 `0.07%`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국민 1,44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항체가 보유 여부를 검사한 결과, 항체와 중화항체(병원체의 악영향을 중화하는 항체)를 가진 사람은 1명이었다.
항체를 가지고 있는 1명은 서울시 거주자다.
앞선 1차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0.1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이 수치로만 보면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 중 항체를 보유한 사람이 거의 없어 우리나라의 경우 집단면역을 통한 코로나19 극복은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다.
과거 대구가톨릭대 의료진 연구에서는 198명 중 15명이 양성반응을 보여 항체보유율이 7.6%라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해당 연구와 항체보유율 수치가 다른 이유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해당 연구는 대구 경산이라는 유행지역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병원을 방문한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신속진단키트를 통한 간이검사법을 이용했기 떄문에 차이가 상당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항체보유율에 인구 수 5,178만 579명을 곱하면 3만 6,246명이다.
국민 3만 6,246명이 코로나19의 숨은 감염자라고도 이해할 수 있지만, 정 청장은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정은경 청장은 "1,500명 정도로 검사해서 실제 잠복감염이나 무증상 감염률을 찾아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검사의 숫자가 적어서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항체가 조사의 목적은 PCR 확진자 이외에 무증상이나 증상이 있었지만 검사를 안 받은 사람의 규모를 파악하고, 집단면역이 얼마나 형성됐는지 확인해 방역전략을 짜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김우주 교수는 "단면조사로 빠르게 진행, 발표한 자료가 아니라 이미 2개월 정도 된(8~9월 2차 유행이 반영 안 된) 자료인데다 검사 수가 1만명은 넘어야 일반화가 가능해 0.07%란 숫자는 현재로서는 크게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그래도 당시 확진자 수보다 3배 정도 많은 환자가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보건당국은 8월 이후 대규모 유행이 있었던 점을 감안해 해당 유행을 반영한 조사를 기획,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