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서울 송현동 부지 매각을 놓고 서울시와 갈등을 빚는 가운데 경제계가 "서울시의 송현동 부지 공원화 추진은 민간의 재산권을 정면으로 침해하는 것"이라며 대한항공에 힘을 실었다.
대한항공이 경영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재산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오늘(30일) 의견서를 통해 "대한항공이 자구책을 통해 코로나19 경영·고용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송현동 부지 문화공원 지정 계획을 조속히 철회해 민간시장 메커니즘에 의한 매각으로 사적 재산 가치가 정상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28일에는 양측을 중재 중인 국민권익위원회에 의견을 제출했다.
경총이 개별 기업의 특정 사례에 대해 의견을 내는 것은 이례적이지만,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의 자구노력에 힘을 보태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총은 "대한항공 입장에서 송현동 부지 매각은 가격과 자금 조달 면에서 핵심적인 자구책"이라며 "서울시의 공원화 추진은 대한항공의 절박한 자구노력에 커다란 타격을 주는 조치"라고 지적했다.
대한항공이 연말까지 상환해야 할 부채 규모는 3조8천억원이다. 채권단은 4월 대한항공에 1조2천억원을 지원하고, 특별약정을 통해 대한항공에 올해 말까지 1조5천억원, 내년 말까지 누적 2조원의 자본을 확충하도록 했다.
대한항공은 국내 채권단으로부터 긴급운영자금을 수혈받아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자본금 확보, 부채원금·이자의 상환, 인건비·고정비 등 단기 운영자금 조달 등에 소요되는 대규모 자금확보를 위해 대대적인 자구책을 추진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서울시의 공원화 계획 발표로 대한항공이 6월 진행한 송현동 부지 매각 예비 입찰에 아무도 응하지 않으며 자구안에 차질이 빚어졌고 대한항공은 결국 `알짜` 사업부인 기내식까지 내놔야했다.
서울시 발표가 없었다면 송현동 부지의 매매 가격이 시장 원리에 따라 주변 가치와 시세를 고려해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게 경총의 입장이다.
경총은 "민간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공공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공적 부담을 민간에게 전가·부담시키는 것으로 대한항공은 매우 억울한 상황"이라며 "서울시는 예산도 정식 확보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경총은 또 "현재의 불가항력적인 위기를 극복하고자 정부가 기업을 측면 지원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며 "서울시가 공원화를 추진하려면 민간시장에 의한 매매가격으로 매수해 사적 재산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