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5일부터 홍콩산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는 `메이드 인 차이나` 표시를 붙여야 한다.
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11일(현지시간) 관보에 실은 공지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앞으로 45일 후인 오는 9월 25일부터 홍콩산 제품의 `메이드 인 차이나` 표기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출업자들은 45일간의 이행 기간 동안 제품의 `메이드 인 홍콩` 표기를 `메이드 인 차이나`로 바꿔야 한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설명이다. 홍콩산 제품들은 제품의 산지가 중국이라고 명시해야 한다.
관보에 따르면 이는 홍콩이 중국과 다른 대우를 받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자주적이기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번 조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14일 중국의 홍콩보안법 시행에 따른 후속 보복 조치로 홍콩에 대해 1929년 홍콩정책법 적용을 중단하고 특별대우를 끝내는 홍콩 정상화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따른 후속 조처다.
이에 따르면 홍콩기업들은 이제 중국 본토 수출업자와 같이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홍콩은 이제 본토 중국과 똑같은 대우를 받게 될 것"이라며 "특혜도 없고 특별한 경제적 대우도 없고 민감한 기술 수출도 없다"고 밝힌 바 있다.
2분기 홍콩의 국내총생산(GDP)이 10% 가까이 역성장한 가운데, 이런 조처는 홍콩 경제와 고부가가치 소량 수출업자들에게 타격이 될 것이라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망했다. 이 조처를 준수하지 않은 수출물량은 미국에 도착하면 징벌적인 10% 관세에 직면하게 된다.
홍콩의 대미 무역적자는 260억달러로 다른 어느 국가보다 많다. 올해 들어 5월까지 홍콩의 대미 수출은 물량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3% 감소했다.
홍콩은 자체 직접 수출보다 재가공 수출이 중요한 수출 허브다. 1970∼1980년대까지는 제조업 중심지였지만, 이제 홍콩에서 선적되는 물품 중 1%만 홍콩에서 만든 것이다. 지금은 중국 본토 수출입 물품의 유통 관문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홍콩의 순수한 대미수출은 지난해 기준 4억7천100만달러로, 전체 재가공수출 물량을 포함한 나가는 선적량의 0.1%에 불과하다.
존 마렛 홍콩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 선임애널리스트는 "전반적으로 보면, 명백히 좋지는 않지만, 또 그렇게 큰 의미가 있지는 않다. 전체적인 수치는 미미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