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44.10

  • 14.32
  • 0.52%
코스닥

858.96

  • 3.23
  • 0.37%
1/1

샤넬 이어 디올도 가격 올린다..."명품 보복소비 겨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샤넬 이어 디올도 가격 올린다..."명품 보복소비 겨냥"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프랑스 명품 브랜드인 크리스챤 디올이 2일부터 주요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에도 `보복소비` 혜택을 받는 명품 브랜드들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명품업계에 따르면 디올은 이날부터 레이디디올백 등 주요 상품 가격을 10~12% 인상한다.


디올의 가격 인상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디올은 지난해 10월 일부 제품 가격을 10%가량 올린 바 있다.

이번 가격 인상은 디올이 속한 프랑스 패션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본사 정책으로, 한국을 포함해 캐나다 등에서 가격이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양가죽 레이디디올백 등 스테디셀러 제품 가격이 40만~60만원가량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에도 가격을 올리는 명품 브랜드는 비단 디올만이 아니다.

샤넬은 지난 5월 중순 주요 제품 가격을 20% 가까이 인상했다. 이 때문에 인상 전 제품을 사려는 고객들이 백화점 문이 열리자마자 달려가는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샤넬 외에도 루이뷔통, 구찌, 프라다, 티파니앤코 등 인기 명품 브랜드가 올해 상반기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다.

지난 1일엔 3대 명품 주얼리 브랜드로 불리는 불가리가 예비 부부들에게 인기 있는 `비제로원` 라인을 포함한 제품 가격을 10% 인상했다. 불가리는 지난 4월 이미 일부 제품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업계는 최근 가격을 올린 디올과 불가리가 LVMH그룹에 속한 것을 고려할 때 LVMH 대표 브랜드인 루이뷔통도 곧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최고급 명품으로 통하는 에르메스도 이달 중 가격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명품들이 가격을 인상하는 이유로 보복소비와 `베블런 효과`를 꼽았다.

보복 소비는 억눌린 소비 욕구가 한 번에 분출되는 것을, 베블런 효과는 부 과시를 위해 가격이 오를수록 제품이 더 잘 팔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 두 가지 효과가 코로나19 사태로 극대화됐다는 것이다.

일례로 지난해 4번이나 가격을 올린 디올의 한국법인인 크리스찬디올꾸뛰르코리아는 작년 매출이 전년 대비 93% 늘었고, 영업이익은 108억원에서 442억원으로 급증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비용이 가격에 반영됐다고 하지만 잦은 가격 인상은 보복소비 영향이 크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