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융감독원이 280조 원에 달하는 이른바 '부동산 그림자금융'을 관리하기 위해 올해 종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인데요.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 일부 자금이 부실화될 수 있어 이런 위험을 사전에 감지, 대응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해외 부동산의 경우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옵니다.
문성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 증권사, 펀드 등 부동산 그림자금융이 부실화될 위험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위기상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같은 배경에섭니다.
이 시스템은 금융투자업자·금융투자협회·국토교통부 등으로부터 미분양관리지역 여부, LTV, 현재 부동산 가치 등의 데이터를 받아 종합 분석하는 구조입니다.
문제는 해외 부동산 그림자금융은 부실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나라별로 부동산 제도가 달라 관련 데이터 확보가 어렵고, 금융투자업자들이 제출하는 자료에만 의존해야 해 교차 검증도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지난해(2019년) 해외부동산 펀드 설정액은 54조2천억 원에 달합니다.
[인터뷰] 해외부동산 투자업계 관계자A
"제대로 못할걸요. (금감원에서) 해외 업체들에게 전화해 볼 수도 없고."
구축 예정인 종합관리시스템 입수데이터 항목을 한국경제TV가 살펴보니 국내 부동산 그림자금융 관련 항목이 대부분입니다.
해외 부동산은 환율 변동에 대비할 수 있는 '환 헤지' 여부와 소재지 등 간단한 내용만 입력하도록 돼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환 헤지'뿐 아니라 경기 위축·재난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보험 가입 여부 등도 데이터 확보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인터뷰] 해외부동산 투자업계 관계자
"보험으로 위험 회피가 가능한지 이런 것들을 봐야 하는 거예요."
이와 함께 해외 부동산 투자 때 대부분 현지 자산운용사를 통하는 만큼 파트너사를 검증할 수 있는 데이터도 제출받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금감원은 이에 "관리시스템 구축이 완료되기 전까지 업계의 의견을 듣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TV 문성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