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융당국이 대규모 마진콜 사태를 불러왔던 주가연계증권(ELS) 시장에 칼을 댈 전망입니다.
증권사별로 자기자본 규모에 따라 발행한도를 규제하는 방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는데, 업계에서는 현실과 맞지 않는 처방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방서후 기자입니다.
<기자>
증권사에게 자기자본 이상의 ELS를 찍어내지 말라는 게 금융위원회가 검토 중인 규제의 핵심입니다.
현재 발행잔액이 7조8천억원으로 가장 많은 삼성증권을 예로 들면, 자기자본 5조원의 100%수준으로 잔액을 낮추라는 것입니다.
통상 증권사들은 ELS 판매로 들어온 고객 자산의 90% 가량을 국공채와 환매조건부채권(RP), 기업어음(CP) 등 단기채 형태로 보유하는데,
이런 식으로 금융당국이 자기자본을 기준으로 ELS 발행에 제동을 건다면 삼성증권은 3조원 가량의 채권을 내다팔아야 합니다.
문제는 자기자본 대비 ELS 발행잔액 비중이 100%를 웃도는 증권사가 적지 않다는 것.
초대형 IB인 한국투자증권(117%), KB증권(135%)은 이미 ELS 발행잔액이 자기자본을 초과하고 있으며, 자기자본 4조원 안팎의 신한금융투자(116%), 하나금융투자(105%)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견 증권사인 신영증권은 자기자본이 1조2,287억원인 데 비해 ELS 잔액은 2조5,140억원으로 205%에 달합니다.
이들 증권사가 한도를 맞추기 위해 ELS 신규 판매를 중단하고 수십조원에 달하는 채권을 팔아치우는 과정에서 단기자금시장에 더 큰 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더불어 개별 증권사가 ELS 헤지방식도 자율적으로 정하는 만큼 위험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사고 발생 우려가 제기될 때마다 수도꼭지 잠그듯 상품 활로를 원천봉쇄하는 식의 규제는 결국 소비자의 투자 기회 박탈로도 이어집니다.
지난 2016년 홍콩H지수의 변동성이 높아지자 일시적으로 홍콩지수 ELS 판매가 제한됐지만, 이후 증시가 반등했는데도 규제에 묶여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금융투자업계 관계자
"과연 이 시점에서 이런 규제가 나오는 것이 시장 상황에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지금 자본시장의 증권사들이 그렇게 탐욕스럽게 무엇인가 잘못한 것이 있는지, 갑자기 정책이 변하면서 수익의 정당한 가치가 훼손되는 상황을 묵인해야 하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전문가들은 ELS가 예·적금이 아니라 글로벌 증시 변동성에 따라 수익도 손실도 날 수 있는 상품이라며, 이를 투자자에게 정확하게 알리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현재 객관적인 기준 없이 1등급(초고위험) 또는 2등급(고위험)으로 구분되는 위험등급을 유럽처럼 세분화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