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26.81

  • 16.39
  • 0.63%
코스닥

773.65

  • 5.17
  • 0.67%
1/4

한·미 통화스와프 전격 체결… 원·달러 환율 급등세 진정될까?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나라 안팎으로 모든 금융시장이 대혼란을 맞고 있는데요. 특히 어제는 대규모 외국인 자금 이탈 속에서도 안정세를 보였던 원?달러 환율이 하루에 40원 급등했습니다. 일부에서는 제2 외환위기의 전조이지 않느냐는 시각이 있는데 때맞춰 어제 밤 자정 무렵에 (이 시간을 통해 몇 차례 건의해 드린 바 있는) 한미 간 통화스와프 협정이 전격적으로 체결됐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있습니다.

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일단 오늘 새벽에 끝난 뉴욕 금융시장 움직임의 특이점부터 정리해주시죠

-Fed, 선진국 이어 9개국과 통화스와프 체결

-→한국·멕시코·브라질 등 300∼600억 달러

-→중앙은행 간 공조→세계 중앙은행 탄생한 셈

-美 3대 지수, 폭락세 진정된 것만으로 희소식

-→CNN FGI, 일주일 전 ‘2’→18일 ‘5’→19일 ‘7’

-코로나 장기화, 시장의 관심은 default에 초점

-→달러 유동성 확보…달러인덱스 102대로 상승

Q. 최근 들어 왜 달러 유동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는 거죠? 다른 통화도 많지 않습니까?

-서브프라임과 리먼 사태, 미국發 금융위기

-→Fed, 제로 금리와 양적 완화로 달러 공급

-→신흥국 등 다른 국가, 달러 조달 쉬운 여건

-신흥국 중심, 달러 부채 급증으로 ‘빚의 복수’

-→신용경색으로 roll over 안되면 부도 급증

-→코로나 사태 후 신흥국 CDS 프리미엄 상승

Q. 이 시간을 통해 몇 차례 신흥국의 달러 부채 만기가 집중적으로 돌아온다는 진단을 해 드린 적이 있는데요. 그 내용을 다시 한번 말씀해주시지요.

-IIF, 신흥국 달러 부채 2조 7000억 달러 발표

-→신흥국 자금조달, 대부분 10년 만기로 조달

-신흥국 달러 부채, 2018년 하반기 이후 만기

-→작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4000억 달러 상환

-→roll over 안될 때는 곧바로 부도 가능성 급증

-코로나 사태, 악성 채무국부터 roll over 되지 않아

Q. 코로나 사태 이후 문제가 터지고 있습니다만 달러 부채 위험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신흥국에게 위험이 될 것이라고 지적이 많지 않았습니까?

-13년 제네바 리포트, 피케티 자본론보다 주목

-중국 등 신흥국, 부채로 경제를 지탱해 나가

-마이클 루이스, ‘Revenge of Debt’ 우려

-16년부터 IMF도 신흥국에 부채 위기 경고

-폴 크루그먼 교수, 신흥국 외환위기 우려 경고

-→제2의 부채위기 우려, 부채의 복수→복합 불황

Q. 궁금한 것은 Fed가 작년 7월 이후에도 세 차례 금리를 내렸고 이번에 1.5% 포인트 내렸는데도 오히려 신흥국에서 달러 부채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왜 그렇습니까?

-Fed, 작년 7월 회의 이후 금리인하 국면 지속

-Fed의 금리인하 불구, 신흥국 달러 부채 부담 늘어

-→ 신흥국 달러 부채, 상황 능력 대비 절대액 많아

-→ 금리인상 등 출구전략 감안, 고정금리로 조달

-→ 달러대비 자국통화 약세, 달러 부채 부담 늘어

-→ 코로나 사태→채무 상환 유예→벌칙 금리 상승

Q. 우리도 예외는 아니지 않습니까? 어제 원·달러 환율이 하루에 40원 급등하지 않았습니까?

-외국인 자금, 1조원 이탈될 때 10원 내외 상승

-→ 외국자금 10조원 이탈, 100원 내외 상승 효과

-→ 2월 24일 1219원, 1320원 내외로 올라야 정상

-하지만 지난 주말까지 원·달러 환율 안정세 유지

-→이번 주 들어 원·달러 환율, 갈수록 상승폭 커져

-→어제 원·달러 환율 40원 급등, 1300원에 다가서

Q.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최근 들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 말씀해주시지요.

-달러 가치, mercury와 mars 요인에 의해 결정

-mercury 요인, 경기와 금리 면에서 달러 약세

-→기준금리 1.5%p 인하, 올해 1분기 성장률 0% 내외

-mars 요인, 사상 최대 무역적자로 달러 약세

-→트럼프, 대선 앞두고 무역적자 대폭 개선 원해

-미국 측 요인만 따진다면 원·달러 환율 떨어져야

Q. 어제 자정 무렵에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이 전격적으로 체결되지 않았습니까? 앞으로 원?달러 환율 움직임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증시 이탈 외인 자금, 달러 수요로 연계 적어

-→제 1선과 제 2선 자금 합쳐 총 6천억 달러 확보

-→각종 위기판단지표, 제2 외환위기 가능성 낮아

-→원·달러 급등, 달러 유동성 확보와 투기 세력

-원·달러 상승과 외자 이탈 간 악순환 차단 중요

-→한미 통화스외프 협정, 600억 달러 전격 체결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