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대란이 일어나자 정부가 마스크 공급방식을 바꾸는 보완대책을 발표했다. 일반에 푸는 공적물량 600만개 가운데 560만개를 약국에 몰아주는, 사실상 `약국 판매 일원화` 조치다. 약국의 중복방지시스템을 활용하면 `1인당 주2개` 공평분배가 가능해, 마스크를 사기위한 긴줄은 줄것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국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약국의 휴일운영 확대를 강제하거나 유인할 제도가 이번 대책에 없기 때문이다.
6일 대한약사회가 운영하는 휴일지킴이 약국 검색사이트를 확인한 결과, 서울시에서 지난달 일요일에 문을 연 약국수는 평균 705개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가 파악하고 있는 서울시내 전체 약국수 5천230개의 13.5% 수준이다. 지난달 일요일 운영약국을 날짜별로 보면 2일 722개, 9일 686개, 16일 716개, 23일 694개다. 이달 첫번째 일요일인 1일엔 문을 연 약국수가 290개로 2월 평균보다 60% 급감했다. 공적판매처로 지정된 뒤 오히려 일요일 운영약국이 준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감염의 우려가 커지면서 약국 운영도 위축된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달 26일 마스크 긴급 수급 조정조치 시행에 따라 약국을 농협 하나로마트, 우체국 등과 함께 공적 판매처로 선정했다.
주말에 문을 여는 약국수가 적은 것은 서울뿐만이 아니다. 경기도 고양시의 약사 A씨는 "고양시에서 약사로 6년 동안 근무하면서 일요일에 출근한 적이 한 번도 없다"며 "인근에 일요일에 문을 여는 약국은 10%가 될까말까하다"고 말했다. 약국의 휴일 운영은 법적의무가 아닌 약사들의 선택사항이다.
게다가 이번 대책엔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한 `요일별 5부제`도 포함됐다. 월요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가 1,6년, 화요일에는 2,7년, 수요일에는 3,8년, 목요일에는 4,9년, 금요일에는 5,0년인 사람이 마스크를 살 수 있다. 하지만 평일에 구매하지 못하는 경우 주말에는 전 출생연도 구매가 가능하도록 했다. 때문에 주중에 마스크 사는게 힘든 직장인과 맞벌이 부부들은 주말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약국에 마스크 물량을 전량 몰아주면서도 휴일운영 확대와 관련해 대한약사회와 구속력 있는 협약을 이끌어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약사회 한 관계자는 "정부의 협조요청이 있었던 걸로 알지만, 약사가 개인사업자인데 어떻게 휴일운영을 의무화할 수 있느냐"고 했다. 뒤집어 말하면 정부는 휴일운영을 의무화시킬 수 없는 개인사업자를 공적판매처로 지정한 셈이다. 대한약사회는 대책이 발표된 5일에 대한약사회 회장 명의로 휴일지킴이 약국 확대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각 약국에 발송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