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파생결합증권 잔액이 DLF 사태 등으로 2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는데요.
금융당국의 규제 강화와 맞물려 파생상품 시장이 더욱 움츠러들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
이민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 9월 말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111조2천억원으로 전 분기 116조5천억원과 비교해 4.5% 감소했습니다.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지난 2017년 90조원, 2018년 111조8천억원으로 2년 간 성장세를 보였는데, 이게 꺾인 겁니다.
3분기 중 파생결합증권 발행액과 상환액은 전 분기와 비교해 각각 33%, 12%로 더 크게 줄었습니다.
미중 무역분쟁과 홍콩사태로 해외 증시가 부진한 탓도 있지만, DLF 대규모 손실 사태가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3분기 중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이익은 8,416억원으로 전 분기의 1조3,103억원보다 31% 급감했습니다.
금융당국도 손실 우려를 경고하며 고위험, 고난도 사모펀드의 은행 판매 금지와 일반 투자자 요건 강화 등 고강도 규제를 내놨습니다.
문제는 이런 추세가 소비자 보호를 넘어 파생상품과 자본시장에 퇴보를 가져올 수 있단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는 겁니다.
실제로 국내 파생상품 시장은 거래량 기준으로 지난 2011년 세계 1위에 올랐다가 2014년 14위로까지 밀려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당시 ELW(주식워런트증권) 손실 우려가 불거지자 파생시장 건전화 조치 등 규제를 잇따라 내놓은 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탓에 해외 파생상품 거래액이 지난 10월까지 4조5천억원 수준으로 지난 2017년과 비교해 60% 가까이 증가하는 등 개인 투자자가 국내 파생상품시장에서 떠나는 상황입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하나금융투자가 파생상품 관련 사태 등으로 3분기 순이익이 전 분기 대비 36% 크게 줄어든 게 대표적인데, 올해 성적까지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단 평가입니다.
금융당국은 규제뿐 아니라 모험자본 활성화 차원에서 사모펀드 시장 육성에도 힘쓸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움츠러드는 국내 파생상품시장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란 평가가 우세합니다.
한국경제TV 이민재 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