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항공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본 수출규제와 미중 무역분쟁, 보잉 항공기 균열까지 악재가 한꺼번에 터지면서 부도 항공사마저 나올 수 있단 경고음이 울리는데요.
국내 항공산업이 전례없는 위기에 처한 가운데 정부의 과감한 지원과 함께 구조적 변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항공업계가 처한 상황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입니다.
경기악화로 여행 수요 증가세는 주춤한 가운데, 실적을 견인하던 일본 노선은 불매운동으로 망가졌습니다.
한일노선 여행객(10월 기준)은 전년대비 43% 감소하는 등 이에 따른 국제선 매출 피해는 올 연말까지 7,800억원으로 추산됩니다.
보잉 항공기 운항 정지에 따른 사업제한으로 항공사의 적자도 누적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세계 항공운송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최근 2년 사이 40개의 항공사가 파산했습니다.
<인터뷰> 김병재 상명대 교수
"항공운송산업은 일자리 창출이라든지 GDP 기여, 글로벌과의 연계성에서 중요한 산업입니다. 범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 상황이 "직접적으로 피해가 있었던 메르스나 사드 때보다 좋지 않다"며 업계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위기인 만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단 겁니다.
한국에만 있는 항공기 취득세·재산세, 항공기 부품 관세 등의 규제를 철폐해 글로벌 항공사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인터뷰>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
"일본 수출규제로 여행이 급감했지만 그 이전부터 어려운 조짐이 있었습니다. 항공사들도 노력하겠습니다만, 항공기 재산세나 부품에 대한 관세 등 한국에만 있는 규제를 해소해주시면 훨씬 더 마음놓고 외국 항공사와 경쟁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항공협회에 따르면 미국·일본·중국·유럽 등 많은 국가들이 항공기 취득세와 재산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산업 생존을 위해 과감한 구조재편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분석도 나왔습니다.
앞서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항공사 난립과 과잉경쟁이 결국 ‘메가 캐리어’(초대형 항공사) 체제'로 이어졌습니다.
9개 항공사가 경쟁 중인 한국도 구조조정의 시기가 도래했다며 당국이 선택과 집중을 단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