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82.12

  • 39.61
  • 1.62%
코스닥

683.35

  • 7.43
  • 1.10%
1/4

건설업계 "당장 타격없지만 건자재 수입원 다변화 모색"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그렇다면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우리 건설산업에 미칠 타격은 얼마나 될까요.

업계에서는 당장 직접적인 타격은 없겠지만 장기적인 대책마련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전효성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우리 건설기업이 일본에서 공사를 수주한 금액은 1억1,500만 달러 규모였습니다.

총 해외건설 수주액(133억 달러)의 1% 수준입니다.

건설업계에서는 일본에서의 건설 수주비율이 높지 않은만큼, 한-일 관계악화가 건설업황에 당장은 큰 타격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한·일 관계악화가 장기화될 경우 우리 건설기업의 사업계획도 대폭 손봐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기업의 시공기술과 일본 금융자본을 더해 해외수주에 나서곤 하는데, 지금같은 분위기가 이어지면 정상적인 협력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해외건설업계 관계자

"일본계 자금이 포함되는 사업들이 있지 않습니까, 그런 사업들 같은 경우에는 일본 기업들과 합작을 해야하는데 일본 건설업체, 디벨로퍼, 상사들이 자국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게 되는거죠. 전체적으로 (해외 공동사업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죠."

한편 일본산 건설자재를 대체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심사입니다.

대표적인 품목은 고철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에만 일본에서 400만 톤 이상의 고철을 수입해 건자재로 활용해왔는데, 이는 국내 전체 수입량의 60%를 웃돌았습니다(63%).

러시아와 중국 등 수입국을 다변화해야하는 셈입니다.

여기에 "일본을 보이콧하자"는 시민사회 분위기가 감지되는 만큼, 우리 건설기업도 일본산 건자재와 인테리어 자재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A건설업체 관계자

"회사마다 다를 것 같지는 않은데요. 굳이 일본산 (인테리어) 자재를 사용해야하는 이유는 없거든요. 가급적 (인테리어) 자재를 안쓰는 것이 현재 정서에도 맞지 않나 싶고… 자재나 기기같은 것도 굳이 일본산을 쓸 필요는 없거든요. 대체재도 많고 해서…"

한·일 무역전쟁의 여파가 건설업계까지 덮치려고 하는 가운데, 우리 건설기업들이 이같은 난관을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전효성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