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1.47

  • 8.96
  • 0.37%
코스닥

675.58

  • 0.34
  • 0.05%
1/4

'몇 억원 미술작품', 가격 어떻게 매겨질까…시가감정협 첫 공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내 미술품의 유통 가격을 연구하는 (사)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자체적인 미술품 가격 결정 모형을 처음 공개했다.
협회의 김영석 감정위원장은 30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간담회를 열고 미술품 가격 산정을 위해 개발한 모형을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2003년 미술경제지 아트프라이스를 창간했으며, 2008년부터 협회를 만들어 이사장을 지냈다.
협회는 먼저 학업·전시 활동·인지도 항목을 각 1∼3점으로 매긴 뒤 작업 경력을 반영해 해당 작가의 통상 가격을 산출한다.
학업 특성에서는 출신 학교는 구분하지 않되 학부 비전공 1점, 대학 졸업 2점, 대학·대학원 졸업 3점으로 차등을 뒀으며, 전시 활동은 대관전 1점, 기획전 2점, 초대전 3점으로 나눴다. 인지도 면에서는 수장 이력·소장 내역·보도 내용을 평가해 최대 3점까지 주기로 했다.
이러한 `작가 통상가`를 바탕으로 특정 작품의 보존 상태·크기별 가격·작품성·시장성을 따져 최종 가격을 책정한다.
기준이 되는 작품 크기는 10호(53cm×45.5cm)다. 각각 -4점부터 4점까지인 작품성 및 시장성은 협회 소속 감정위원과 전문위원이 작업 재료, 작품 주제, 제작 시기, 경매 성적 등을 반영해 평가한다.
가격 결정 구조가 불투명하다는 비판을 꾸준히 받아온 미술계에서 자체 가격 산출 근거를 외부에 공개하는 첫 시도 자체는 의미 있다는 평가다.
그러나 모형 내용을 접한 미술계 일각에서는 작업 경력, 언론 보도 같은 `정량적` 항목도 정성적 성격을 띤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출신 학교를 구분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학업 항목도 차별 요소가 될 수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모형 내용을 접한 한 30대 작가는 "좋은 작업과 외부로 보이는 위치나 성과는 다를 수 있다"라면서 "평가 기준으로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한 중견 화랑주는 "작품의 시장 가치에 학력이나 전시 횟수가 어떠한 타당성이 있는지 모르겠다"라면서 "시행착오가 있더라도 가격이 시장에서 스스로 형성돼야지, 작가를 점수 매긴다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작가의 작품 가격을 평가하고 시장에 알려 이중가격 형성을 막고 시중에서 검증받을 기회를 주자는 것"이라면서 "미술협회 소속 작가만 해도 3만 명이 넘는데 지금은 극소수 유명 작가 작품가만 알 수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협회는 이 모델을 의뢰받은 정부미술은행 소장품 가격 재산정에 적용하되, 현장 의견을 수렴해 계속 보완할 계획이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