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수소경제 청사진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성과 부족한 인프라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는데요.
배성재 기자가 정부와 민간 실무담당자들을 만나서 이들의 해법을 직접 들어봤습니다.
<기자>
한국 수소산업을 이끌고 있는 실무자들이 꼽은 수소 정책의 최대 관건은 '안전'과 '충전소'였습니다.
신재행 수소융합얼라언스추진단장은 지난 5월 발생한 강원 테크노파크 수소탱크 폭발의 주원인으로 꼽히는 수소 용기(탱크)에 대해,
이를 다루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과 같은 시스템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평했습니다.
<인터뷰> 신재행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장
"물에서 수소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설비가 이번에 폭발이 일어난 건데, 이런 부분을 새롭게 하다보니까 이런 제대로 된 기준 같은 것이 아직은 미비한 상태입니다."
나아가 향후 수소를 활용한 신사업들까지도 포괄하는 제도적인 안전망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인터뷰> 신재행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장
"수소경제에 있어서 새로운 분야, 신규로 시작하는 그런 분야에 대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부분들, 그런 부분들이 앞으로 보완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신에너지산업과장도 수소의 안전한 사용에 방점을 두는 동시에,
수소전기차 충전소 또한 수소 에너지 보급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이에 대한 보완책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수소충전소의 숫자는 연내에만 약 4배 가량 늘어날 전망입니다.
<인터뷰>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신에너지산업과장
"현재 수소충전소는 전국에 24개가 운영 중에 있습니다. 올해 말까지 86개를 구축할 예정이고, 정부 로드맵에 따라서 2023년까지 310기를 전국에 운영할 예정입니다."
특히 수소차 차주들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던 수소충전소 실시간 현황 문제에 대해서도 두 달 내로 대책을 예고했습니다.
그간 충전소 위치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충전소의 대기인원이나 수소량, 고장 여부 등은 알 도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신에너지산업과장
"충전소 관련된 정보도 실시간으로 받으실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8월달에 발표할 충전소 구축 전략에 그 내용이 담길 것 같습니다."
정부가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하고 대통령까지 나서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한 만큼
안전과 인프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배성재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