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 경제를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삼성과 SK를 불러 중국 기업과 거래를 끊을 경우 응징하겠다는 협박성 경고를 날린것으로 전해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도 '반화웨이' 전선합류를 촉구한 상황에서 격화되는 미중 갈등 속에 선택을 강요받고 있는 우리 기업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졌는데요.
문제는 한국의 반도체 기업뿐 아니라 중국과 거래하는 다른 기업들까지도 적지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신동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 정부가 각국의 주요 기업들을 불러 미국 요구대로 중국에 부품공급을 중단하면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서 미국은 한국에 ‘반(反)화웨이 전선’에 동참할 것을 요구한 상황에서 중국까지 압박하면서 한국 기업들은 그야말로 진퇴양난에 빠졌습니다.
당장 화웨이와 가장 많이 거래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곤혹스러운 입장입니다.
이들 기업은 지난달 ‘미국 정부의 거래중단 요청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하루가 다르게 상황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중국에서 각각 전체 매출의 18%와 39%를 벌어들일 만큼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합니다.
<인터뷰> 어규진 이베스트투자증권 책임연구원
"미중 분쟁 심화되면 당연히 IT 수요에 있어 좋을게 없다, 중장기적으로 중국이 서버 안짓고 서버시장의 4분의1정도가 중국인데 중장기적으로 피해가 막대하다, 특히 SK하이닉스의 경우 매출이 높아 타격이 크다"
더 큰 문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뿐 아니라 중국과 거래하는 한국 기업들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도체뿐 아니라 화웨이에 OLED 패널을 공급하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삼성전기·LG이노텍 등 부품사의 공급량 감소도 우려됩니다.
화웨이 무선 네트워크 장비를 중점적으로 쓰는 LG유플러스를 비롯해 SK텔레콤과 KT 등 화웨이 장비를 일부 사용하는 통신업계도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중국의 사드 보복 후유증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또다시 미중 갈등의 피해를 국내 기업이 고스란히 감당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
뉴스